| 
      
        |  |  
        |  |  
        |  |  
        |  |  
        | 본 자료는 하역관리에 대한 기본적 내용과 함께 하역의 11가지 원칙과 컨테이너 하역장비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포장의 표준화를 강도표준화, 치수표준화,기법표준화, 재료표준화 등 4가지 측면에서 서술하였으며, 친환경 포장과 관련하여 국내 친환경 법규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 자료임 |  
        |  |  
        |  |  
        |  |  
        | 제1절 하역관리 하역의 기초
 컨테이너 하역장비
 
 제2절 포장관리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물류포장의 미래
 
 [참고자료]
 [참고1] 포장 표준화
 [참고2] 각 국의 파렛트 규격
 [참고3] 일관파렛트 시스템 표준화
 [참고4] 다단계 포장
 [참고5] 포장모듈의 표준화
 [참고6] 국내 친환경 법규 종류 및 내용분석
 |  
        |  |  
        |  |  
        |  |  
        | 제1절 하역관리 
 1. 하역의 기초
 
 1) 하역의 개념
 
 - 하역이란, 물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화물의 적재, 양하, 운반, 입출고, 분류 등의 작업 및 이에 부수적인 작업
 - 수송, 보관의 전후에는 반드시 하역작업이 수반되기 때문에 하역의 합리화는 물류프로세스의 전체적인 합리화에 중요한 요소가 됨
 
 2) 하역의 구성요소
 ① 적하와 양하 : 수송기기 등으로 물품을 싣고 내리는 것을 말함.
 컨테이너에 물건을 싣는 것을 적하(vanning)이라고 하며, 내리는 것을 양하(devanning)이라고 함
 ② 운반 : 공장 또는 창고 내에서 비교적 단거리 이동을 통해 물품을 취급하고, 이동시키며 보관하는 작업
 ③ 적재 : 물품을 창고 등 보관시설의 정해진 장소에 이동하여 물품을 쌓는 작업
 |  
        | 
          
            |  | 하역의 원칙,  장비유지,  사중체감,  통기 컨테이너,  행잉 가먼트,  포장표준화,  강도표준화,  치수표준화,  기법표준화,  재료표준화,  포장모듈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