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목차
 Ⅰ.서론
 1. 공공부조제도
 2. 도입배경
 3. 연혁
 4. 기본권리
 5. 의의 및 내용
 6. 목적 및 정의
 Ⅱ.본론
 1. 대상
 2. 급여체계
 3. 재원
 4. 전달체계
 Ⅰ.서론
 1.공공부조제도
 ◇ 공공부조란
 
 개개의 생활 빈곤자들을 대상으로 자산조사를 실시해 공적인 부담으로 보조적으로 급부하는 것
 
 기본목표는 국민의 최저생활 보장,
 사회보험과 함께 사회보장제도의 주요한 구성요소
 우리나라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
 * 출처  정무성 외, 사회복지개론, 신정, 2010, p.132
 2. 도입배경
 ‘일반적
 공공부조’로의
 전환을 요구
 3. 연혁
 * 출처: 이진숙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9, p.332
 4.기본원리
 공공 책임의 원리
 일상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생존권을 보장하는 일을 국가
 혹은 공공책임으로 간주하는 것
 
 2) 최저생활보장의 원리
 급여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최저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
 
 3) 보충성의 원리
 수급자가 자기 생활의 유지향상을 위하여 그 소득재산
 근로능력 등을 활용하여 최대한 노력하는 것을 전제로
 이러한 노력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비로소 국가가 보충적
 으로 지원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것
 4.기본원리
 4) 타법 우선의 원리
 부양의무자의 부양과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보호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의한 급여에 우선 한하여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는 것
 
 5) 자립조장의 원리
 자활과 자립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급여원칙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
 
 6) 무차별 평등원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요건을 충족하는 한 급여는
 수급권의 성별, 사회적 신분에 따른 차별 없이
 평등하게 행하여져야 한다는 것
 * 출처: 이진숙 외, 사회복지정책론, 양서원, 2009, p.332~334
 5.의의 및 내용
 1) 제정 의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