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 (읽기) 교수 ․ 학습 과정안
 
 수 업 자
 
 단 원
 6. 깊이 있는 생각
 주 제
 광고의 성격 알기
 일 시
 
 장소 및 대상
 
 협 의 장 소
 
 O O 초 등 학 교
 
 학급 실태 분석
 
 1. 국어과 영역 선호도 조사
 (N=32)
 
 영역
 조 사 내 용
 결과
 %
 실 태 분 석
 지 도 방 향
 교과
 영역
 ▫ 듣기
 39
 - 어떤 주제에 대해 글쓰기를 지루해하고 어려워함
 - 읽기 영역을 가장 재밌어함
 - 정적인 활동보다는 동적인, 학습자의 참여적인 국어 수업으로의 방안 모색이 필요함
 ▫ 말하기
 4
 13
 ▫ 읽기
 23
 72
 ▫ 쓰기
 26
 
 2. 광고에 대한 흥미도 조사
 (N=32)
 영역
 조 사 내 용
 결과
 %
 실 태 분 석
 지 도 방 향
 흥미도
 ▫ 매우 재미있다.
 15
 47
 - 광고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세대라 광고를 재밌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 수업에의 적극적인 몰입을 위해 최근 광고 중에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광고를 수업 소재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
 ▫ 재미있다.
 11
 34
 ▫ 그냥 그렇다.
 39
 ▫ 재미없다.
 13
 ▫ 매우 재미없다.
 27
 
 3. 주로 광고를 접하는 매체 조사
 (N=32)
 
 영역
 조 사 내 용
 결과
 %
 실 태 분 석
 지 도 방 향
 매체
 ▫ TV
 24
 75
 - TV CF를 통하여 광고를 접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임
 - 광고 소재 선정 시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익숙한 방향으로 선정하되, 다양한 광고 매체에 대한 안내도 필요함
 ▫ 인터넷
 7
 22
 ▫ 신문
 13
 ▫ 그 외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