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대중음악의 이해 |  
        |  |  
        |  |  
        |  |  
        | Ⅰ. [숨은설명:시작]
 [script language= JavaScript ]
 [!--
 function Winopen(a){
 window.open(a, , scrollbars=1, resizable=0,width=550,height=200 );
 }
 
 //--]
 
 [/script]
 [MAP NAME= cc ]
 [AREA SHAPE=RECT COORDS= 371,10,407,44 HREF= ../index.html ]
 [AREA SHAPE=RECT COORDS= 411,10,454,44 HREF= index.html ]
 [AREA SHAPE=RECT COORDS= 458,9,500,44 HREF= ../sitemap.html ]
 [/MAP]
 [숨은설명:끝]
 첫번째 문제의식 : 가요(歌謠) 라는 용어
 한국 대중음악을 전면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어서 다음의 두 가지 전제가 가로 막고 있음을 먼저 인식하지 않으면 안된다. 첫째, 일차 자료의 열악함. 문화적 자원으로서의 음반과 악보의 보존과 분류에 관한 정책적 배려는 단 한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물며 모든 음반과 악보를 사전 검열해온 공연윤리 심의위원회조차도 70년대 이후의 자료를 정리하고 있지 않다
 둘째, 비평 및 연구의 일천함. 다른 예술 분야와는 달리 영화와 더불어 20세기 대중문화를 주도해 온 대중음악에 관한 비평과 연구가 여하한의 축적을 진행하지 않은 것도 놀라운 일이다. 관련 프로저널리즘은 대중음악을 예술 의 영역으로 간주한 것이 아니라 오락 으로 보았으며 아카데미즘의 보수성은 음악대학의 커리큘럼에 대중음악프로그램을 삽입하는 것을 거부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