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 : 우수 인재 양성 시스템이 발달한 독일의 교육제도와 학교 교육의 특징 
 1. 학교 유형이 다양한 독일의 학교제도
 ● 독일의 학제
 ● 제 1영역 : 4년제 초등학교
 ● 제 2영역 : 중등교육 (두 단계로 구분)
 ① 제 1단계(중학교 과정) : 하우프트슐레(Hauptschule, 5년제), 레알슐레(Realschule, 6년제), 김나지움(Gymnasium, 9년제), 종합학교가 모두 속하며, 하우프트슐레와 레알슐레, 종합학교(Gesamtschule)의 경우는 이 단계에서 학업이 종료된다.
 ② 제2단계(고등학교 과정) : 김나지움 상급반과 직업학교가 포함된다. 초,중등 12년간을 의무교육 기간으로 정하고 있다.
 ● 고등교육기관에 해당되는 대학에는 일반적으로 김나지움 상급반 졸업생들이 입학하게 되고, 직업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계속해서 전문대학에서 공부할 수 있거나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일반대학에 진학할 수도 있다.
 
 대 학
 
 13
 직업학교
 김나지움 상급반
 19
 12
 18
 11
 17
 10
 
 레알슐레
 종합학교
 김나지움
 16
 9
 하우프트슐레
 15
 8
 14
 7
 13
 6
 진로모색 단계
 12
 5
 11
 4
 초등학교
 10
 392817
 학령
 
 연령
 표 독일의 교육제도 [김창환(2008)]
 
 ● 독일 기간학제의 두 가지 특성
 ① 기회균등(평등성)의 원칙 :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수준 차이와 상관없이 모든 학생이 동일하게 국민기본교육을 받는다.
 ② 수월성의 원칙 : 중등 단계에서는 네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수준별 교육을 실시하는 복선형 학제를 유지하고 있다.
  우수 학생을 위한 김나지움
  보통 학생을 위한 레알슐레
  열등 학생을 위한 하우프트슐레
  세가지 형태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종합학교
 
 ▶ 우리나라와의 비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