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학화학실험-화학평형상수 결정- 실 험 목 적
 화학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평형상태에 존재하는 각 화학 종의 농도를 측정하여 화학평형상수를 계산하여 본다.
 화학반응식과 평형상수(K).
 화학평형
 화학평형(chemical equilibrium) (일정한 압력, 농도, 온도일때)
 - 가역반응에서 정반응의 속도와 역반응의 속도가 평행인 상태.
 즉, 같은 속도로 일어 나고 있을 때를 말한다.
 반응속도론에서 화학적 평형
 반응속도의 정의
 - 단위 시간에 변화된 반응물 및 생성물의 mol농도.
 화학적 평형에서 반응속도.
 - 반응속도 상수는 농도에 무관하고
 - 화학평형에서의 반응물 및 생성물의 농도 변화는 없으므로
 - 전체적 반응속도는 0
 열역학에서의 화학적 평형
 열역학적인 관점에서 평형점이란
 반응계가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에너지 값.
 G(생성물) = G(반응물)
 G = G(생성물) - G(반응물) = 0
 자유에너지와 평형상수값 사이의 정량적인 관계식
 G = G˚ + RTln(Q)
 자유에너지 변화는 평형상태에서 0이고 Q는 K와 같다. 따라서
 G=0 = G˚ + RTln(K)
 G˚ = -RTln(K)
 열역학에서의 화학적 평형
 G˚ = 0 일 때
 G˚(생성물) = G˚(반응물)
 계는 평형상태에 있다.
 
 G˚ [ 0 일 때
 G˚(생성물) [ G˚(반응물)
 계는 반응식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 후 평행에 도달.
 
 G˚ ] 0 일 때
 G˚(생성물) ] G˚(반응물)
 계는 반응식에서 왼쪽으로 진행된 후 평행에 도달.
 화학평형상수
 화학평형상수(chemical equilibrium constant)
 - 화학 평형의 법칙으로부터 유도된 것으로 생성물의 몰농도
 곱과 반응물의 몰농도 곱의 비.
 [A], [B], [C], [D]는 A, B, C, D의 평형에서의 몰농도이다.
 반응물이 기체인 경우,농도 대신기압 단위의 부분압력을 사용한다.
 실험 원리
 [I-], [I2], [I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