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1
리포트 > 사회과학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1
한글
2012.01.18
2페이지
1.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1.hwp
2.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1.pdf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1
(한국 현대사)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권력향방

1. 들어가며

해방 직후의 북한에서의 세력은 민족주의자로서 인민들의 신망을 두텁게 얻고 있는 조만식선생과 빨치산 출신의 소련장교 김일성이 국외파 공산주의 그리고 국내파 공산주의자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2. 북한 권력 구조에 대한 소련의 최초 구상

소련측의 권력구성 복안의 첫번째는 조만식을 대통령으로 김일성을 군부책임자의 안을 생각하기도 했다. 조만식 선생은 민족주의 세력과 인민들로부터 얻고 있는 신망이 높았기 때문에 그리고 처음에는 공산주의자를 표면에 내세우지 않으려는 그들의 전략과도 맞물려 고상에게 상당히 우호적이었다.
당시 소련의 상부지시는 김일성에 대한 특별한 지시는 없고 빨치산 그룹의 활동을 관찰해보고 이 중에서 지도자를 골라보라는 지시가 전부였다. 그러나 소련의 북한에 대해 실시한 정책은 2,3중의 다중구조였다. 군사적 점령과 군정실시라는 현실적 목표, 그리고 북한을 소비에트화하는 내면적 목표였다. 따라서 소련은 조만식과 같은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협력을 필요로 했고 국내파 공산주의자들에게도 소련의 ‘비밀스런 대안’이 되었다.

3. 김일성의 등장과 정권 장악 과정

김일성은 해방 한달쯤 후인 45년 9월 19일 오전, 원산항 앞바다에 소련군함 1척을 타고 입북했다. 김일성은 입북당시 나이와 이름을 속였다. 원산에 들어온 김일성은 소련의 전폭적인 후원속에 지방조직에 착수하면서 소련과 직접 연결되는 빨치산의 하부조직을 뻗어간다. 김은 지방에 내려가는 ‘빨치산’들에게 구체적이고, 치밀하게 지시를 내렸다.

....
한국전쟁 전의 북한의 체제는 남한에 비해 보다.. 북한정권 - 북한의 공산화 과정
북한의 정권 수립 김일성
북한 금융제도의 변천 추이 북한의농업구조와식량문제
언어정책 북한의 환경정책
중국투자에 관한 연구 해방 직후의 농지 개혁에 대한 연구1
해방 직후 조선문학건설본부와 조선 프롤레타리.. 해방 직후 여운형의 조선인민당의 통일 정책
해방 직후 미군정 하의 정치 경제적 정책 방향1 남북한 분단에 관한 경제사적 접근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 실습..
[애착이론] 애착형성의 이론(..
[사회복지조사방법] 측정과 척..
사회복지조사연구에서 측정과 ..
학교사회사업에서 학교사회복..
가정폭력의 정의 및 발생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