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장애아동 복지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  |  
        |  |  
        |  |  
        | Ⅰ.장애아동 복지의 개념 Ⅰ-ⅰ. 장애아동의 개념
 Ⅰ-ⅱ. 장애아동 복지의 개념
 Ⅰ-iii. 장애아동 관련 법
 
 Ⅱ. 장애아동 현황 및 장애아동 복지의 현황
 Ⅱ-ⅰ. 장애아동 현황
 Ⅱ-ⅱ. 장애아동 복지의 현황
 
 Ⅲ. 장애인 복지의 문제
 Ⅲ-ⅰ. 장애아동 복지의 전반적인 문제점.
 Ⅲ-ⅱ.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과, 가족지원에 대한 문제.
 
 Ⅳ. 장애아동 교육과 가족지원에 대한 해외비교
 Ⅳ-ⅰ.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미국과의 비교
 Ⅳ-ⅱ. 가족지원에 대한 호주, 미국과의 비교
 
 Ⅴ. 장애아동 교육과 가족지원 프로그램 문제에 대한 해결책
 
 Ⅵ.우리나라에서 잘 시행되고 있는 장애아동 복지
 
 Ⅶ. 장애아동 복지를 조사하면서 느낀점
 |  
        |  |  
        |  |  
        |  |  
        | Ⅰ.장애아동 복지의 개념 Ⅰ-ⅰ. 장애아동의 개념
 장애아동 복지를 정의내리기 앞서 장애아동 복지에 주체가 되는 장애아동의 개념을 살펴보고자한다.
 나라와 시대가 사회적 환경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장애아동의 정의도 변화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예로 DSM-I에서 정의 되었던 장애가 DSM-IV에서는 정의되지 않고, DSM-I에는 없던 장애가 DSM-IV에서는 장애로 정의되고 있다. 이처럼 장애아동을 정의 내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장애의 개념을 크게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하고 있다.
 ①협의의 개념: 장애의 의미를 광의와 협의로 구분해 볼 때, 협의의 장애는 신체 또는 정신기능의 저하이상상실 또는 신체 일부의 결손 등과 같은 의학적 차원의 개념임. 따라서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등은 협의의 장애에 속함.
 ②광의의 개념: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기준을 근간으로 하여 1980년에 장애를 이해하는 새로운 접근으로 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 rment, Disabilities, and Handicaps)개념이다. 이는 세 가지 차원인 기능장애와 능력장애 그리고 사회적 불리의 개념으로 정의된다.
 |  
        |  |  
        |  |  
        |  |  
        |  |  
        |  |  
        |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학지사) - 이순형 외 공저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연구회 자료집
 -SBS 긴급출동 SOS 기사출처
 -MBC 일요일 밤에 “진호야 사랑해”출처
 -김현용 외5인 (1997),  현대사회와 아동 - 아동복지의 시각에서,  도서출판 소화
 -성영혜, 김연진 (2002),  아동복지,  동문사
 -이소희 외(2004),  영유아복지론,  현학사
 -전남련 (2003),  아동복지,  형설출판사
 -이순형 외(2004),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  학지
 -전용호 (2003),  차별로부터의 자유, 그 당당한 삶을 위한 장애인 복지,  학문사
 -민중의 소리 2008-10 -03 장애인특수교육법, 그림의 떡으로 만들려 하나, 박준석
 -조선일보 2007-05-16 장애학생들 “일반학교 다니기 힘드네”, 김연주
 -한겨레 2008.09.29 서울시교육청 “장애인 교육예산 20% 삭감”, 김소연
 -연합뉴스 2008.04.19 전국 장애인가족 `고통받는 현실 증언', 김병조
 -시티뉴스 2008-04-21 “동반자살 잇달아, 정부지원 및 대책마련 시급”, 최지희
 -광주드림  2008-10-14 장애인교육법 '만드나 마나', 정상철
 - 아동복지의 이해/김연진,이상희/태영출판사/2006
 - 아동복지론/윤혜미,김혜래,신영화/청목출판사/2006
 - 아동복지론/김명희/교문사/2006
 - 장애인복지론/권선진/청목출판사/2006
 -보건복지가족부, 2008학년도 보건복지부 장애인 복지시책
 -윤혜미 외 (2006), 아동복지론, 청목
 -한성심, 송주미 (2006), 아동복지론, 창지사
 - 성정현 외 (2005), 가족복지론, 양서원
 - 문선화 외 (2006),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양서원
 - 김범수 외 (2007). 자원봉사론. 학지사.
 - 문선화 외 (2005). 장애인 복지론. 양서원.
 - 전용호 (2003). 차별로 부터의 자유. 그 당당한 삶을 위한 장애인 복지. 학문사.
 - 두산백과사전 EnCyber &EnCyber.com
 - 법제처 종합법령정보센터 (http://www.klaw.go.kr) -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 보건복지부《보건복지백서》2005 - 권선진《장애인복지론》청목출판사, 2005 - 전재일 외《사회복지개론》형설출판사, 2005 - 신섭중 외《사회복지법제》대학출판사, 200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구정책 30년》 1991
 
 *참고 사이트 *
 -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