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승진 관리 |  
        |  |  
        |  |  
        |  |  
        | ■ 승진관리 
 Ⅰ 서
 
 1 종업원의 2대 관심사
 종업원의 2대 관심사는 신분관리와 보수관리이다.
 신분관리로는 승진관리와 교육훈련관리 등이 있고 보수관리로는 임금관리와 복리후생등이 있다. 그중 신분관리의 직접적인 승진관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승진관리의 중요성
 종업원의 입장에서는 자아발전과 성취동기를 자극하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체계적이 인재육성과 종업원 능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조직유효성을 높이는데 있다.
 3 최근 능력주의 실현
 특히 최근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로 승진관리에 있어서도 능력주의 실현이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Ⅱ 승진의 의의 및 원칙과 기준
 
 1 승진의 의의
 승진이란 이동의 한 형태로서 기업에서 종업원의 직무 또는 자격 서열의 상승을 의미한다.
 이러한 승진은 지위의 상승과 보수. 권한. 책임의 증가가 수반된다.
 승진관리는 인사관리에서 직접적인 신분관리에 해당한다.
 
 2 승진의 원칙
 1) 원칙
 인재육성, 업적주의, 적재적소, 동기부여의 원칙이 적용
 이는 채용 배치 평정 승진 임금 등 인사관리 전반에 일관되게 견지되어야 할 원칙
 2) 승진 결정요소
 ① 능력
 능력이란 기업목표달성에 공헌하는 업무수행 능력을 말한다.
 ② 업적
 업적은 능력이 구체적으로 나타난 결과를 말한다.
 그러나 능력의 발휘는 환경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업적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없다.
 ③ 연공
 학력, 근속연수, 경력평정등이 승진요소가 될 수 있다.
 ④ 목적에 따른 활용
 승진의 경우는 능력을 중심적으로 하며 승급, 상여금등은 업적에 큰 비중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위 직급의 경우는 능력에 큰 비중을 두고 생산직, 영업직등은 업적등에 큰 비중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기타
 기타 승진요소로는 승진시험, 교육훈련평가, 추천 등을 들 수 있다.
 
 3 승진의 기준
 1) 비합리적 기준과 합리적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