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리포트 > 사회과학
[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한글
2011.07.12
3페이지
1. [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hwp
2. [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pdf
[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1. 개 념
⑴ H. D. Lasswell
① 1951년 「정책지향」논문 발표(정책학의 기원)
② 정책의 의의
㉠ 미래사회 변동을 기조(근거)로 하는 가치와 행동의 결합체
㉡ 범학문성(종합 학문성)
㉢ 인본주의 중시
③ 정책은 정부조직은 물론 민간조직에도 있다고 봄.
④ 동양사상인 공자의 교훈에서 얻었다고 주장
⑵ Y. Dror
① 최적모형 연구(Lasswell과 함께)
② 정책학을 가장 많이 발전시킨 학자
③ 행태과학과 관리과학 간의 경계성을 타파하고 협동학문을 강조
④ 정책은 공공분야에만 있다고 주장
⑶ W. Dunn(정책문제의 특성)
① 가치성
② 미래지향성(규범성)
③ 복잡성
④ 상호의존성
⑤ 인공성
⑥ 주관성
2. 용어정의 및 성격
⑴ 정책이란 결과로서 산출과 관련된다.
⑵ 정책결정은 동적이고 과정지향적으로서 전환에 해당한다.
⑶ 정책은 기획에 비하여 일관성이 낮다(수정이 빈번하므로).
⑷ 정책은 기획에 비하여 집행력이 우수하다.
⑸ 정책은 법률에 비하여 추상적이다(가치가 포함되므로).
⑹ 정책은 법률에 비하여 집행력이 낮다.
....
한국(우리나라)의 정책학의 역사 정책학의 과제(정책학의 이론적, 실천적 과제)
영국의 정책학 역사 미국의 정책학운동
[정책학의 발달 및 한계] 정책학의 발전과정, .. [행정학] 정책결정이론
정책학의 접근방법 [행정학] 인사행정론에 대한 모든 것
[행정학] 재무행정론에 대한 모든 것 이론 중 고전모형의 내용을 설명하고 이론에 대..
2학기 중간과제 네트워크 거버넌스8p 사회복지의 학문적 구성(사회복지의 기초학문,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중에서 사회양심론과 .. 정책학원론 2025년 2학기 중간과제물
 
국민연금제도(발표용 PPT 파워..
인간관계의 유형(일차적 인간..
시니어클럽(설립배경, 목적, ..
인간관계의 기초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욕구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가정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