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행정학]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  
        |  |  
        |  |  
        |  |  
        | 정책학의 이론적 기초 
 1. 개 념
 ⑴ H. D. Lasswell
 ① 1951년 「정책지향」논문 발표(정책학의 기원)
 ② 정책의 의의
 ㉠ 미래사회 변동을 기조(근거)로 하는 가치와 행동의 결합체
 ㉡ 범학문성(종합 학문성)
 ㉢ 인본주의 중시
 ③ 정책은 정부조직은 물론 민간조직에도 있다고 봄.
 ④ 동양사상인 공자의 교훈에서 얻었다고 주장
 ⑵ Y. Dror
 ① 최적모형 연구(Lasswell과 함께)
 ② 정책학을 가장 많이 발전시킨 학자
 ③ 행태과학과 관리과학 간의 경계성을 타파하고 협동학문을 강조
 ④ 정책은 공공분야에만 있다고 주장
 ⑶ W. Dunn(정책문제의 특성)
 ① 가치성
 ② 미래지향성(규범성)
 ③ 복잡성
 ④ 상호의존성
 ⑤ 인공성
 ⑥ 주관성
 2. 용어정의 및 성격
 ⑴ 정책이란 결과로서 산출과 관련된다.
 ⑵ 정책결정은 동적이고 과정지향적으로서 전환에 해당한다.
 ⑶ 정책은 기획에 비하여 일관성이 낮다(수정이 빈번하므로).
 ⑷ 정책은 기획에 비하여 집행력이 우수하다.
 ⑸ 정책은 법률에 비하여 추상적이다(가치가 포함되므로).
 ⑹ 정책은 법률에 비하여 집행력이 낮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