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의산문답 |  
        |  |  
        |  |  
        |  |  
        | [의산문답] 통합적 읽기 고찰 목차
 홍대용의 삶
 [의산문답]의 문학적 가치
 결론
 [의산문답]의 세계관
 홍대용의 삶
 1.1 연보
 1731년 음력 3월 초하루 충청도 천원군 수산면 장산리 수촌 마을에서 맏이로 태어남.
 1755년 연암 박지원과 교류 시작
 1756년 호남 실학자 나경적과 만난 후 그와 함께 혼천의를 만들기로 함.
 1762년 두 대의 혼천의와 자명종이 3년 만에 완성됨.
 1765년 숙부 홍억의 군관으로 북경 답사를 감. 12월 27일 에 북경에 이름.
 1766년 항주의 선비 엄성, 반정균, 육비 등과 사귐. 5월 다 시 조선으로 돌아옴.
 이후 [건정동 회우록]을 씀.
 1772년 아버지 별세 후, 서울에서 경작을 하며 삶.
 이 시기 박지원과 자주 만나 사귀기 시작함.
 1773년 철학소설 [의산문답], 수학책 [주 해수용] 등을 지음.
 1774년 동궁 시절 정조의 시직이 되어 벼슬 에 오름
 1777년 태인 현감으로 제수됨.
 1778년 중국의 친구 손용주에게 이덕무, 박 제가를 소개함. 박 제가 [북학의] 지음
 1783년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옴. 10월 22일 중풍으로 사망
 홍대용의 삶
 홍대용의 삶
 그의 사상관
 실학
 김원행
 자연현상
 그의 가풍
 홍대용과 [의산문답]
 홍대용의 삶
 북경의 경험 +
 홍대용의 결정판
 흥미로운 문답식 구성
 허학의 해체
 [의산문답]의 세계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