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행정학] 사기 및 근무규율 |  
        |  |  
        |  |  
        |  |  
        | 사기 및 근무규율 
 1.사 기
 ⑴개 념
 ①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근무의욕+집단의 근무의욕을 말함.
 
 S
 개인만의 근무의욕은 사기앙양과 관련없다.
 ②1930년대 인간관계론에서 강조(심리적인 요인 강조, Y이론)
 ③군대조직에서 강조
 ⑵사기와 생산성의 관계
 ①사기와 생산성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②사기와 생산성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Vroom의 기대이론).
 ③사기와 생산성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Herzberg의 만족(동기)요인].
 ④사기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변수에 불과하다(상황이론).
 ⑶사기 조사방법
 ①면접법, 설문지 작성, 소원 수리서 작성
 ②Moreno의 Sociometry(사회측정법, 태도조사)
 ③출․퇴근 상황, 생산고, 사고율, 결근율, 이직률(10~12%가 적당)
 ④투영법(투사법):피평정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평정자가 사기를 평정하는 방법
 ⑤Hawthorne effect(호손 효과):피평정자가 자신이 실험대상에 속한다고 가정했을 때는 평상시와 다른 행태를 보이는 것
 ⑷사기 제고방안(Maslow의 욕구 5단계설을 기준으로)
 2. 공무원의 보수
 ⑴ 개념 및 특성
 ①국민에 대한 봉사자라는 측면과 공무원의 최저 생계비를 보장한다는 양면성
 ②공무원 보수는 경직성을 갖는다.
 ⑵보수체계
 ①생활급:최저 생계비를 보장한다는 측면(계급제에서)
 ②직무급:동일한 업무에 대한 동일한 보수 지급(직위분류제에서), 성과급, 능률급, 실적급
 ⑶보수 결정요인(변수)
 ①경제적인 요인
 ㉠국내의 물가수준 고려
 ㉡민간임금 고려(먼저 결정)
 ㉢국가의 지불능력 고려(재정능력)
 ㉣국민의 조세부담능력 고려
 ②사회․윤리적 요인
 ㉠최저 생계비를 보장한다는 하한선 결정
 ㉡문화 수준, 안락 수준, 건강이나 품위유지 수준
 ③부가․정책적 요인:휴가제도, 연금제도
 ⑷보수원칙
 ①직무급 원칙
 ②보수 중복 금지의 원칙
 ③보수 법정주의 원칙
 ④보수 조정의 원칙
 ⑤비교․균형의 원칙
 ⑸한국의 보수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