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1.계급제
 ⑴공무원 개인의 신분․자격․학력을 기준으로 한 인간중심의 분류기준
 ⑵공개채용(신분보장, 정치적 중립성 확보)
 ⑶폐쇄형 충원(농업사회, 직업공무원제에서 발달)
 ⑷계급의 수가 적다(∵ 교육제도, 계급정년제와 관련).
 ⑸공무원의 엘리트화
 2.직위분류제(과학적이고 능률적인 인사행정 ⇨ 전문성 확보)
 ⑴개 념
 ①직무의 곤란도, 난이도를 기준으로 한 직무중심의 분류기준
 ②동일한 업무에 동일한 보수 지급(직무급)
 ③과학적 관리론의 영향(1923년 직위분류법 제정)
 ④산업사회의 등장
 ⑵구성요소
 ①직위
 ㉠1인의 공무원에게 부여할 수 있는 직무와 책임
 ㉡최소단위이다(인사계장, 총무과장).
 ②직급
 ㉠직무의 종류, 성질도 유사하고 곤란도, 난이도도 유사한 직위들의 집합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행정서기보, 행정주사).
 ③직렬
 ㉠직무의 종류나 성질은 유사하지만 곤란도, 난이도가 상이한 직급의 집합
 ㉡행정직렬, 사서직렬, 감사직렬
 ④직군
 ㉠유사한 직렬이 모여 있는 집합
 ㉡가장 대분류이다(∵ 행정직군=행정+사서+감사직렬).
 ⑤직류
 ㉠동일한 직렬 내에서 직무가 동일한 것
 ㉡행정직류, 보호감찰직류, 재정직류
 ⑥등급:직무의 종류는 상이하지만 직무의 곤란도, 책임도와 자격요건이 유사하여 동일한 보수를 지급할 수 있는 모든 직위
 [직위분류표]
 
 직 군
 직 렬
 직 류
 계급 및 직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공 안
 교 정
 교 정
 
 교 회
 분 류
 보 도
 보 도
 보호관찰
 보 호
 관 찰
 검찰사무
 검찰사무
 검찰수사
 출입국관리
 출입국관리
 철도공안
 철도공안
 행 정
 행 정
 일반행정
 관리관
 이사관
 부
 이사관
 서기관
 행정
 사무관
 행정
 주사
 행정
 주사보
 행정
 서기
 행정
 서기보
 법무행정
 
 재 경
 국제통상
 세 무
 세 무
 관 세
 관 세
 운 수
 운 수
 
 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