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재정학] 공채의 개념 및 구분 |  
        |  |  
        |  |  
        |  |  
        | 공채의 개념 및 구분 
 1. 공채의 개념
 ① 공채란 국가 및 지방공공단체가 부족한 재원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채무를 의미
 ② 고전학파 이래 정부재정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였으나 케인즈의 「일반이론」등장 이후 경제안정을 위해서는 적자재정도 무방하다는 견해가 확산되면서 적자재원 조달을 위한 국공채 발행이 일반화
 ③ 공채는 조세와 함께 중요한 재정자금 조달수단일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무위험채권으로써 금융시장에서 기준금리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음
 
 2. 조세와 공채의 차이점
 조세와 공채는 모두 정부의 자금조달수단이나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
 ※ 조세와 공채의 차이점
 
 공채
 조세
 강제성 유무
 자발적 교환원리에 의해 조달
 납세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과세당국이 부과․징수
 원천
 저축자금에 의해 충당
 소비자금에 의해 충당
 부담
 부담이 장기에 걸쳐 분산
 → 부담이 미래세대에 전가될 가능성이 있음
 부담이 과세시에 발생
 조달의 편의성
 단기간에 다액의 수입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
 단기간에 다액의 수입을 획득하는 것은 어려움
 저항
 작다.
 크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