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입원한 아동이 받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  
        |  |  
        |  |  
        |  |  
        | 입원한 아동이 받는 스트레스에 대해서 1.분리불안(Seperation anxiety)
 -어린아동의 분리불안 증상
 
 저항기
 •후기 영야기에서 관찰되는 행동
 -울음
 -날카롭게 부르짖음
 -두리번거리며 부모를 찾음
 -부모에게 매달림
 -낯선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거나 거부함
 •유아기에서 추가로 관찰되는 행동
 -낮선 사람에 대한 언어적 공격(예: ‘저리 가’)
 -낯선 사람에 대한 신체적 공격(예: 차거나 물거나 때리거나 꼬집음)
 -부모를 찾으려고 도망치려 함
 -부모가 떠나지 못하도록 힘을 행사함
 •이러한 행동들은 수시간에서 수일간 지속됨
 •울음과 같은 저항은 지칠 때까지 계속됨
 •낯선 사람이 접촉하면 저항이 증가됨
 절망기
 •관찰되는 행동
 -움직임이 없음
 -다른 사람에게서 멀어짐
 -우울하고 슬퍼 보임
 -주위에 대한 관심이 없음
 -대화가 안됨
 -퇴행(예: 엄지손가락 빨기, 야뇨, 인공젖꼭지 빨기, 우유병 빨기)
 •이상의 행동은 다양한 기간 지속됨
 •먹고 마시고, 움직이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아동의 신체적 상태가 악화됨
 분리기
 •관찰되는 행동
 -주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것처럼 보임
 -낯선 사람 혹은 친근한 간호제공자와 상호작용함
 -새롭지만 피상적인 관계를 형성함
 -행복해 보임
 •이러한 분리는 보통 부모와 지속적인 분리 이후에 나타남;입원아동에게서는 거의 볼수 없음
 •이상의 행동들은 상실에 대한 피상적인 적응을 의미함
 
 2.통제력의 상실
 1)영아
 -울거나 웃는 것 같은 정서적 표현으로 자신의 환경을 지배하려고 시도한다. 병원에서 일상사가 영아의 욕구가 아닌 의료요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설정될 위험이 있는데 지속적이지 않은 보호와 영아의 일상으로부터 분리는 불신과 통제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2)유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