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생화학실험요약노트 |  
        |  |  
        |  |  
        |  |  
        | kutiger s Biochemistry Principle Note V1.0
 
 ∙ Amino Acid Titration
 
 가. Amino Acid의 ampholytes 로서의 성질
 
 Amino Acid는 수용액 상에서 이온화되어 산과 염기로써 동시에 작용할 수 있다. 즉 수용액 내에서 결정화되어 나타나는 -Amino Acid는 그림 1과 같이 완전히 이온화된 상태, 즉한 분자당 서로 다른 이온기를 지닌 Dipolar ion (Zwitterion)의 상태로 존재한다.
 
 그림 1:
 
 Nonionic Form Dipolar Form
 
 이렇게 Dipolar 한 성질을 띄고 있는 Amino Acid는 수용액 속에서 산이나 염기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림 2:
 
 Acid (Proton Donor)
 
 Base (Proton Acceptor)
 
 이렇게 산과 염기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물질을 ampholytes (Amphoteric electrolytes) 이라 하며 Amino Acid 는 이의 좋은 예라 할수 있다.
 따라서 단분자의 Amino Acid의 Carboxyl기와 Amino 기가 완전히 Protonated되었다면 Amino Acid는 Diprotic Acid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림 3 참조)
 
 그림 3:
 
 나.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은 Acid와 그 Salt (혹은 Base) 의 혼합용액의 pH를 쉽게 계산할 수 있는 식이다.
 아세트산은 수용액 속에서 다음과 같이 가역적으로 해리한다.
 
 평형 상수 이며 K*[H2O] = Ka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유도된다. 이 식이 바로 Henderson-Hasselbach 식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