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병인양요 정리 |  
        |  |  
        |  |  
        |  |  
        | 병인양요 정리 
 개관
 
 ● 고종 3년(1866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사건인 병인박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군이 침입한 사건.
 
 배경
 
 ● 1866년초에 흥선대원군은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리고 프랑스신부와 조선인 천주교신자 수천명을 학살하였는데 이를 병인박해 또는 병인사옥이라 한다.
 ● 프랑스 선교사는 12명 중 9명이 잡혀 처형되었으며, 3명은 화를 면하였는데, 그중 리델(Ridel) 신부는 중국으로 탈출하여 주중 프랑스 함대 사령관 로즈(Roze, P.G. 로세(魯勢))에게 박해소식을 전하면서 보복원정을 촉구했다. 이에 로즈가 대함대를 이끌고 침입하였다.
 ● 프랑스 공사 벨로네(Bellonett, H.D., 백락내(伯洛內))는 조선은 사전에 청국의 승인을 받고 병인박해를 단행하였으므로 청국은 병인사옥의 공범자 라고 청국정부를 규탄하면서, 조선에 대한 선전포고를 하고 로즈제독에게 조선에 응징원정을 결행할 것을 명하였다.
 ● 그러나 청국은 조선은 중국의 조공국(朝貢國)이지만 정치적으로 독립국가이며, 공범은 사실 무근이라고 하면서 거병(擧兵)을 강력히 항의하였다.
 ● 이에 프랑스는 조선과 수교관계가 없다는 점과 조선은 정치적 독립국가라는 점 등을 들어 프랑스정부의 직접 개입 없이 현지사령관인 로즈의 주재하에 군사적 응징원정을 단행하기로 결정하였다.
 
 1차 원정
 
 ● 로즈의 제1차 원정은 강화해협을 중심으로 한양까지의 수로를 탐사하기 위한 예비적 탐사원정이었다.
 ● 로즈는 군함 3척을 이끌고 9월 18일부터 10월1일까지 한양의 양화진(楊花津), 서강(西江)까지 올라와서 세밀한 지세정찰과 수로탐사를 한 끝에 지도 3장을 만들어 돌아갔다.
 
 2차 원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