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한말 과학 문화예술 c ntents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III. 당시 문화예술 상황
 IV. 당시 과학과 문화예술의 한계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c ntents
 
 I. 동아시아 과학 수준 비교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III. 당시 문화예술 상황
 IV. 당시 과학과 문화예술의 한계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1800 년대 이전
 - 홍대용 : 지동설
 정약용 : 서양과학
 
 ⇒ 18세기 후반 조금은 활성화 되었던 일부 지식인의 열정이 19세기에 들면서
 사그러듦
 
 1800 년대
 - 남병철, 남병길, 최한기
 - 영선 사행 : 서양 근대과학기술 습득
 - 신사유람단 : 1881년 일본 파견한 문물시찰단
 - 조미수호통상조약 : 서양과 맺은 최초 국제조약
 
 ⇒ 외국어 보급을 가장 급한 과제로 삼고 있었기에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을
 수용할 태세에 들어가지 못함 (당시 근대식 교육의 한계)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1890 년대
 - 안종수 : 서양 근대 농법 소개
 - 지석영 : 우두법, 종두법 실시, 서양의학 배워옴
 - 서재필 : 의과대 졸업, 미국에서 대학 졸업
 - 변수 : 과학기술 전공, 미국에서 대학 졸업
 - 박에스터 : 조선 최초 여자 의사
 
 ⇒ 본격적으로 일본과 미국에서 근대식 과학 기술 교육을 받은 조선인이
 나오기 시작
 
 + 서구문물의 본격적 도입
 II. 당시 과학분야 상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