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 
 Pathophysiology
 
 빌리루빈 대사:
 
 태아기: 태반을 통해 지용성 간접 빌리루빈이 배설
 성인기: 간에서 포합된직접 빌리루빈이 담도계를 통해 위장관으로 배출
 
 신생아 간접 고빌리루빈 혈증의 원인
 
 1. 빌리루빈양 증가: 용혈성 빈혈,미숙 또는 수혈의 의해 적혈구 수명 단축, 장간순환의 증가, 감염, 두혈종,다혈증, hereditary spherocytosis
 2. Transferase 작용 감소 : 저산소혈증, 감염, 저체온증, 갑상선 기능저하
 3. Transferase def., bilirubin uptake 감소: 유전적 결함, 미숙아
 
 간접빌리루빈과 알부민의 결합 방해( 약물,산증,저혈당증,기아,유리 지방산증가)
 Free or unbound bilirubin in brain 핵황달
 Bld-Br barrier 이나 신경세포막의 빌리루빈에 대한 투과도 증가: 가사, 미숙아, 고삼투압성, 감염
 
 혈청 빌리루빈: (조기경구영양시), (모유영양과 탈수시)
 
 Differential Diagnosis
 
 l 발생시기에 따라 감별
 
 l 출생시 or ~24시간내: 태아적아구증,concealed hemorrhage,sepsis, 거대세포봉입체질환, 풍진, 선천성 톡소플라즈마증
 cf: 자궁 내 수혈을 받은 환아에서 생긴 황달은 직접 빌리루빈치가 높을 수 있다.
 l 생후 2~3일: 대부분 생리적 황달. Crigler-Najjar Synd.
 l 생후 3일~1주: sepsis, 매독,톡소플라스마증,거대세포봉입체질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