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귀인이론 |  
        |  |  
        |  |  
        |  |  
        | 귀인(attribution) 
 因果 歸因(Causal Attribution)
 사람들이 세상 특히 자신과 타인의 행위에 대한 인과적 설명에 이르는 과정
 
 1. 타인 행동의 설명
 
 항상성 원리, 입방체 이론: 여러번 관찰 후 귀인
 절감원리, 일치(대응)추리 이론: 일회적 관찰 후 귀인
 주로 어떤 경우에 타인의 행동을 귀인해 보는가
 (1)부정적인 행동일 때, (2)예상치 않았던 행동일 때
 그런데 이 두 조건이 겹치면 더욱더 타인의 행동을 귀인해 보게 됨
 
 (1) Heider(1958)의 항상성의 원리(principle of invariance:상식심리학: Naive Psychology)
 ■ Heider-귀인이론을 처음으로 다룬 사람/ 상식심리학-일반인들이 일상사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이론이 과학자의 그것과 비슷하다. 선행사건과 후행사건의 관계를 인과관계로 추론하는 경향
 內外 차원에 따라서 귀인이론 설명
 내부귀인(기질, 성향적 귀인): 행위자의 개인특성에 원인을 돌리는 것
 외부귀인(상황적 귀인): 행위 당사자 이외의 상황적 조건에 원인을 돌리는 것
 
 (2) Weiner(1974,1982)의 성취 귀인이론
 성취행동의 귀인에 관심, 성취행동이후의 귀인분석
 ① 안정성 차원에 따라서
 안정 귀인-비교적 영속적이고 고정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것(규칙, 법률, 역할, 과제, 성격, 능력)
 불안정 귀인-비교적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것(날씨, 기분, 노력)
 ② 통제 가능성 차원
 ③ 성취 행동의 원인 지각
 
 방향 차원
 안정성 차원
 내부
 외부
 안정성
 능력
 과제의 난이도
 불안정성
 노력
 운
 
 ④ 성취동기와의 관계
 성취동기가 上--성공은 내부 귀인, 실패는 불안정 귀인
 下--성공은 외부 귀인, 실패는 안정 귀인
 
 (3) Bem(1965)의 자기지각 이론(Self-perception theo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