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사회조사의 측정 |  
        |  |  
        |  |  
        |  |  
        | 사회조사의 측정 
 Ⅰ. 측정의 개념
 현실의 세계와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측정대상물이 지니고 있는 속성에 일정한 숫자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1. 사회과학에서 측정이 어려운 이유
 ① 측정하려는 대상이 추상적인 개념인 경우가 많다.
 ② 측정하려는 개념이 다른 개념과 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③ 자연과학에서 널리 이용되는 측정을 위한 표준과 같이 일정한 규칙이나 표준화된 도구가 부족
 
 2. 측정을 통한 자료획득의 유용성
 ① 객관적인 표현 가능
 ② 정확한 의사소통 가능
 ③ 각종 수학적․통계적 기법 적용 가능
 
 Ⅱ. 측정의 수준
 1. 명목수준의 측정
 측정대상의 속성을 단순히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수치를 부여하는 것
 ex) 성별, 종교, 지지정당, 거주지(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운동선수의 등번호 조건
 총망라성(exhaustive) : 모든 분류대상이 전부 포함될 수 있도록 범주를 정함
 상호배타성(mutual exclusive) : 하나의 대상이 두 개 이상의 범주에 속하지 않도록 분류
 ex) 당신은 어느 정당을 지지하십니까
 ① 신한국당 ② 국민회의 ③ 자민련 ④ 국민신당 ⑤ 없음
 
 2. 서열수준의 측정
 ① 측정대상을 그 속성에 따라서 서열이나 순위를 매길 수 있도록 수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측정대상을 분류한 다음 범주간에 서열, 대소관계의 구분이 가능하다.
 ② 수치 자체가 어떤 절대적인 수나 양, 크기 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분류된 범주간의 거리나 간격에 관해서는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ex) 당신은 현재 우리 나라의 경제사정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호황 ② 호황 ③ 보통이다 ④ 불황 ⑤ 매우 불황
 
 3. 등간격수준의 측정(interval level measurement)
 ① 측정대상을 속성에 따라 서열화는 물론 서열간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수치를 부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