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 사회복지실천 정의의 문제점 : 학자들 간에 ‘사회복지실천’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를 찾기 어렵다는 점
 - 한국의 학자들 : 실천부분 & 정책부분 / 직접적서비스 & 간접적서비스
 - 우리나라의 보편적 분류방법
 ․ 정책론 (유럽의 사회행정이나 사회정책학의 전통까지 포괄)
 ․ 실천론 (미국의 전문사회사업 기술론을 포괄)
 - 기술론과 정책론은 상호대립관계에 있으나 사회복지의 실천면에서는 상호보완관계
 ☞ 정책론과 기술론이 잘 조화를 이룰 때 참된 복지의 실현 가능
 
 < 기술론과 정책론의 구별 >
 
 정책적 개입 (거시적 개입)
 기술적 개입 (미시적 개입)
 클라이언트
 이웃, 근린, 공식적 조직, 지역사회, 전체사회
 개인, 가족, 소집단
 목표
 조직, 지역사회, 전체사회의 변화
 사회기능의 향상 : 개인, 가족, 소집단을 위한 사회문제의 경감
 기초지식
 대규모 체계변화이론 :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산업관계학,
 개인변화이론 : 발달심리학, 인간발달이론
 공통지식
 소집단 사회학, 커뮤니케이션 이론
 변화전략
 지역사회조직, 사회행동, 로비활동, 조정, 지역사회분석
 직접적인 상담, 위기개입, 개별 클라이언트를 위한 옹호
 
 2.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1) 사회복지 실천 상의 윤리적 문제
 ① 과거의 윤리적 이슈들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양자관계에서 비롯되거나 그 관계에 국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의 윤리적 관심은 다른 관계들도 포함하는 발전된 실천 모형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② 윤리적 문제 : 주어진 상황에서 마땅히 해야 할 옳은 일은 무엇인가 / 그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는 비윤리적 행동을 어떻게 피할 수 있는가
 ③ 윤리적 딜레마 : 두 가지 이상의 상충하는 윤리적 갈림길에서 한 방향을 선택할 때, 혹은 선택하고자 하는 각 대안들이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에게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될 때 발생한다.
 
 2) 가치와 전문가 윤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