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대중가요와계층의식의 |  
        |  |  
        |  |  
        |  |  
        | 
 대중가요와 계층의식의 분화
 -대중가요의 력사와 노랫말을 통한
 의식구조 비교를 중심으로-
 
 목 차
 
 서 론
 
 본 론
 
 Ⅰ. 대중가요란 무엇인가
 Ⅱ. 대중가요의 역사
 ◎60년대의 대중가요
 ◎70년대 포크송과 대학가 노래
 ◎80년대 가요와 컬러 T.V
 ◎90년대 댄스의 등장과 아이돌 그룹
 Ⅲ. 가요와 계층의 분화
 ◎기성세대의 소외
 ◎10대의 가요계 장악
 ◎20대의 갈등과 희망
 Ⅳ. 앞으로의 전망
 ◎상업주의로의 이동
 
 結 論
 
 序 論
 
 문화란 인간의 생활양식의 소산이다. 이러한 문화속에 인간의 희노애락이 담겨 있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을 것이다. 사회적으로 볼 때 문화는 계급과 계급, 계층과 계층을 구분하거나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주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계급의식과 계층의식은 이러한 문화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흔히 말하는 대중문화란 절대 다수의 피 지배계급에게 부여되어 왔던 소산이었던 것이다. 그런데 한가지 여기서 의문이 생겼다. 그것은 문화와 계급/계층 의식간의 인과성에 관한 문제였다. 일명 “달걀논쟁” 이기도 한 이 문제의 요지는 이렇다. 즉 “문화가 계급/계층 의식을 창출하느냐, 아니면 계급/계층 의식이 문화를 창출하느냐” 라는 것이다.
 언제 부터인가 문화속에는 그 문화를 향유하는 그들만의 의식이 성장하고 있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렇다면 계급간, 혹은 세대간, 계층간의 문화는 어떠한 사회의식으로 대변되는가를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