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중세사보고서에따른과제 |  
        |  |  
        |  |  
        |  |  
        | 
 한국중세사(2)
 
 栗谷의 哲學思想
 
 - 목 차 -
 1. 서 론
 2. 본 론
 (1) 철학적 입장과 학풍
 (2) 栗谷의 理氣論
 1) 理氣之妙
 2) 理通氣局
 3) 氣發理乘
 (3) 栗谷의 心性論
 1) 心·性·情·意
 2) 人心道心論
 3. 결 론
 ✍ 참고자료
 
 학 과 : 사 학 과
 학 번 : 9981113
 성 명 : 조 두 영
 담당교수 : 정호훈 교수님
 제출일 : 2004. 6. 15
 
 1. 서 론
 
 지난 시간에 우담 정시한 선생에 대한 발표를 하면서 우담의 율곡 철학 비판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것은 우담의 입장에서 본 율곡의 철학이었고, 율곡의 방대한 철학사상에 비해 그 내용이 미약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이번 보고서에서는 율곡의 철학사상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지난번 보고서를 보충하는 계기로 삼으려 한다. 아울러 개인적으로는 이번 학기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有終之美’를 거둘 수 있는 보고서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2. 본 론
 
 (1) 철학적 입장과 학풍1)1) 황의동, 『율곡학의 선구와 후예』, pp. 244~245 참고.
 
 16세기의 사상적 흐름은 이언적·이황 중심의 理 중시 철학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서경덕을 중심으로 한 氣 중시 철학이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리고 기대승에 의해 理와 氣를 조화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이를 계승해 본격적으로 양자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한 철학자가 바로 栗谷 李珥(1536~1584)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