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북한의_시문학과_주체시론 |  
        |  |  
        |  |  
        |  |  
        | 북한의 시문학과 주체시론 
 (고려대 북한학과) 북한의 시문학과 주체시론 2000. 5. 18
 
 <전제>
 1. 시문학은 가장 대중화된 문학의 한 형태이다. 사람들은 시를
 통하여 생활을 노래 하며 힘과 용기를 얻는다.
 2. 주체적 시문학에는 자주적인 인간의 고상한 사상감정과 혁명
 적 열정, 전투적 기 백이 흘러 넘치고 있으며 시대의 숨결
 과 숭엄하고 아름다운 정서가 굽이쳐 흐른 다.
 3. 한편의 시는 천만 사람의 심장을 격동시킨다. 그리하여 사람
 들은 시를 생활의 노 래, 투쟁의 '나팔'이라고 부르는 것이
 다.
 4.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영생불멸의 주체사상에 기
 초하시여 주체의 시창작이론을 전일적으로 체계화하시고 완
 성하시였다.
 
 <시의 생명으로서의 서정>
 
 1. 서정은 시의 생명
 
 시는 서정의 문학이다. 시문학의 형태적 특징은 서정성이다. 서
 정성은 서정적 묘사방식의 특성에 의하여 규제되는 시의 특성이
 다. 서정적 묘사방식이란 시인이 생활에서 받은 충격과 자기가
 체험한 사상감정을 정서적으로 토로하는 생활반영의 방식이다.
 시형상의 힘은 정서적 공감력이다. 시의 정서적 공감력은 사상
 이 정서를 타고 흘러나올 때 발휘된다.
 
 2. 서정의 본질
 
 부르죠아문예이론에서는 서정의 본질을 순수한 주관의 '자체표
 현'으로 보았다. 여기에서는 서정의 세계관적, 심리적 기초를 종
 교적이며 신비적인 '자아'의 세계가 아니면 '자의식' 세계에 두
 거나 순수 감각적인 것에 둠으로써 시문학의 인식교양적 역할을
 말살하였으며 형식주의적이며 자연주의적인 시문학을 합리화하였
 다.
 객관적 관념론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초자연적인 '절대정신'을
 체현하는 미숙한 자연적인 능력으로 보았으며 주관적 관념론에서
 는 그 어떤 '오성'으로 판단을 진행하는 사유능력으로 고찰하였
 다. 또한 관념론에 기초한 <<감성론>>에서는 감성을 인간의 본능
 의 표현으로 보았는가 하면 감성을 성적 본능의 표현으로 간주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