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양사 핵심정리 
 중국사
 1. 춘추 전국시대 사회변혁
 정치 - 춘추(주대 봉건질서 유지) ⇒ 전국시대(약육강식, 중앙집권적 군현제도 실시)
 - 군주권 강화, 귀족권약화, 가부장적 군신관계로 변화
 - 춘추 중기이후 읍제국가 구조 해체 ⇒ 전국시대 영역국가 형태로 발전
 사회 - 주대의 씨족공동체 붕괴, 전국시대 지식계층의 활약과 평민계층의 지위상승, 포의장상
 민족 - 전국시대 민족구성이 ‘화’로 단일화, 한 민족의 통일추진
 
 2. 춘추전국시대의 역사적 의의
 - 민족과 문화상의 동화통일, 각국의 정치와 사회변혁
 - 제자백가사상의 출현
 - 진.한통일제국의 수립기반
 
 3. 군현제
 - 왕을 정점으로 하는 관료지배체제탄생, 중앙집권적 전제군주체제확립
 - 중국관료제의 확립, 은.주의 읍제국가체제 군현체제로 변화
 - 씨족제적 봉건체제 ⇒ 중앙집권적 관료체제로 변환, 정치질서의 재편성
 - 제후.후.군 ⇒ 왕호사용
 
 4. 전국시대 변법
 - 군주권강화, 군현제적 통치체제의 정비, 국력의 신장과 대외전쟁 승리, 부국강병추진
 - 봉건제 타파, 군사체제 강화, 법가주의자 추진
 - 구귀족세력 일소, 법가주의적 중앙집권체제 및 제민지배체제의 확립
 - 상앙의 변법, 중국통일기반 마련
 
 5. 상앙의 변법
 - 문화적 후진지역, 법가적 부국 강병주의 정책 실시, 6국 통일의 기반
 1차 - 연좌제 실시, 향리공동체적 질서의 파괴
 - 분가정책, 소가족제 추진
 - 군공수작제 실시, 중농억상책 시행
 ⇒ 씨족 공동체적 혈연성 파괴, 주대 봉건질서 부정
 2차 - 분가정책 강화(성년, 부.자 형제 동거금지)
 - 소도와 향읍 ⇒ 군현제적 지배체제 확립
 - 부세와 토지제도 개혁
 ⇒ 국가의 인민지배강화, 군주권 강화, 중앙집권체제 확립
 
 6. 전국시대 제민지배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