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총설 1.한국문학의 범위와 영역
 ①범위
 작가:한국인
 수용자:한국인
 표현수단:한국어
 
 ②영역
 ①구비문학 민요, 무가, 설화 등
 탈춤이나 판소리의 재평가
 ②한문학 한국문학이 아닐 수도 있지만, 문명권의 공통문어
 한국한문학은 한국 작가가 한국 독자를 상개로 창작하고,
 한국인의 생활을 내용으로 함.
 민족문학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
 
 #한국어 기록문학  한자를 이용해서 한국어를 표기하면서 시작
 향찰→훈민정음 15C
 ③국문문학  훈민정음 창안하자 제대로 가꾸게 됨
 ‘구비문학을 어머니로, 한문학을 아버지로 한 자식’
 
 #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의 일접한 관련은 상하층 문학 담당자들의 상호 교섭과
 협동이 있어서 나타난 결과#
 
 2.한국 문학사의 전개
 <한국 문학사 시대 구분>
 ①구비문학, 한문학, 국문문학의 관계를 일차적인 기준으로 삼으면...
 고대-구비문학만 있었음
 중세-한문학의 시대(한문학의 등장에서 퇴장까지 지속)
 근대로의 이행기-국문문학이 활발히 창작
 근대 문학- 국문 안에는 언문 일치가 바로 이루어짐
 ②문학 갈래로...
 고대- 전국서사시중요한 역할
 중세 전기  한문학 등장
 향가시대-시조,가사 공존
 서정시 교술시(경기체가,악장)
 집약 확장
 세계의 자아화 자아의 세계화
 교술 산문-가전체, 몽유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