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학 입문 - 요점 정리 - 
 제 1 장
 
 경제 : 경제행위가 규칙적이고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일정한 사회적 질서를 형성하는것.
 가정, 경제, 가계 : 경제행위가 개인, 가정단위로 이루어짐.
 지역경제 : 지역적인 단위
 국민경제 : 국가적 단위
 개방경제, 봉쇄경제
 
 가계 : 주로 소비활동을 하는 소비 경제 주체
 기업 : 생산활동을 주로 하는 생산 경제 주체
 정부 : 가계및 기업으로 구성되는 민간 경제를 조정하고 적절히 조화시키는 경제 주체
 경제 객체 : 물질적인 재화, 용역(service)
 재화 : 소비재, 생산재
 직접용역 : 교수의 강의, 음악가의 연주, 의사의 진료등 인간으로부터 직접 나오는 것
 간접용역 : 전화, 전신, 철도운송, 항공운송등 다른 재화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용역
 재화 : 단용재, 내용재
 희소성의 법칙 : 일반적으로 사회구성원들의 무한한 욕망에 비하여 그 욕망을 충족시켜줄 수단인 경제적 자
 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상
 경제 문제 : 희소성의 법칙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의 경제 행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문제
 효율적 자원 사용 :  최대만족의 원칙 : 일정하게 주어진 자원량으로 최대의 만족을 얻는다.
 ( 경제 원칙 )  최소비용의 원칙 : 일정한 욕망을 달성하고자 할때 자원의 사용을 극소화 한다.
 (경제적 합리주의)
 
 자원의 성질 : ① 자원은 여러가지 상품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
 ② 동일한 상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여러가지 자원을 여러가지 다른 비율로 적절히 배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국민 경제의 3대 기본 문제 : ① 무엇을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가
 (사무엘슨) ② 어떤 방법으로 생산할 것인가
 ③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