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동기로 지원하게 되었고 입사 뒤에는 어떤 포부가 있는가를 알면 그 사람의 장래성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렇게 입사동기와 포부를 설득력 있고 명확하게 쓸 경우 그 사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셈이므로 어떠한 항목보다 중요한 항목이라고 할 수 있겠다. 때문에 기업에서 인사채용을 할 때 중요하게 평가하는 요소가 바로 지원동기 및 포부에 관한 부분이며, 취업 지원자들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전에 ..
동기부여의 과정이론(기대이론, 공정성이론)
I.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
기대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는 톨만(E. Tolman)과 레윈(K. Lewin)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동기 부여에 관한 기대이론을 적용한 것은 1964년 브룸(V. H. Vroom)에 의해서이다.
기대이론은 직무와 관련된 구성원의 노력을 설명하는 것으로 구성원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대의 노력을 기꺼이 발휘하도록 하는 요인..
동기유발이론 중 브룸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을 어떻게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2)에 대한 레포트 자료.
동기유발이론 중 브룸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을 어떻게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목차
동기유발이론 중 브룸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을 어떻게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논하시오
I. 기대이론
1. 노력-성과 간의 기대치
2..
창의성 발현을 위한 동기부여 모형
목차
* 창의성 발현을 위한 동기부여 모형
Ⅰ. 창조적 천재 모형
Ⅱ. 보상모형
Ⅲ. 정보활용모형
Ⅳ. 창조적 긴장모형
Ⅴ. 협상모형
창의성 발현을 위한 동기부여 모형
이 자료에서는 개인이나 팀에서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동기요인들을 응용하여 창의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동기부여 방안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특히 연구개발 영역이나 브랜..
동기부여의 과정이론(기대이론, 공정성이론)
동기부여의 과정이론(process theory)은 욕구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동기부여를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즉 내용이론에서는 욕구가 발생하면 즉시 동일한 정도의 동기가 유발된다는 전제에서 행동을 유발시키는 욕구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이론인데 비하여, 과정이론에서는 동일한 욕구라 하더라도 사람에 따라서 또는 ..
동기-위생이론
매슬로우의 이론적 문제의식에서 중요 사건법(critical incident method)으로 출발한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two-factor theory)은 인간이 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로, 인간은 업무 수행을 통해 발휘되는 자신의 잠재능력의 활용을 통해 만족을 얻는 측면과 업무 수행 환경의 열악한 조건에 대한 불만을 느끼는 측면의 서로 다른 성질 즉 '만족과 툴만의 두 가지..
동기부여 이론 관점에서의 공정성이론 (Equity theory-Adams)
1. 공정성 이론의 개념
동기이론에서 공정성이론은 구성원이 어떤 일에 대한 결과 및 투입을 준거집단 또는 인물 등과 비교하여 공정하다고 지각하면 만족이 유발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불만족한 상황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아울러 전반적으로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의 불공정을 감소시키려는 과정에서 동기부여가 일어난다고 보는 이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