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VI. 글자살이의 역사
*목차
1.훈민정음 이전의 글자 살이
(1)한자전래 ~ 한문표기
(2)고유명사의 차자 표기
(3)이두(吏讀)
(4)향찰(鄕札)
(5)구결(口訣) 및 약체(略体)
(6)한자 빌어 쓰기에 실패한 이유 - 한국어의 음절 수, 일본어와의 대비
2.훈민정음
(1)훈민정음의 기원설들
(2)훈민정음 본문의 글자 쓰기에 대한 풀이
(3)글자 만든 원리
(4)모아쓰기
(5)훈민정음에 대한 이름.. |
|
|
|
|
|
 |
|
훈민정음에 대한 분석
제자해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이십 여덟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
초성은 모두 열 일곱자다.
牙音 象舌根閉喉之形.
아음(어금니 소리)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舌音 ,象舌附上 之 形.
설음(혓 소리) 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脣音 象口形.
순음(입술소리) 은 입모양을 본뜨고,
齒音 象齒形.
치음(.. |
|
|
|
|
|
 |
|
학습장애아 교육]학습장애아동 교수학습방법
학습장애아동은 단어를 인식하거나 글자와 발음을 분석하는 기능을 배우고 수준에 맞는 단어로 읽은 글을 해석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그러므로 아동이 자주 사용하는, 즉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들을 선택하여 정음법에 따라 읽기 연습을 하는 것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문 맥단서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학습장애아동이 좋아하는 .. |
|
 |
아동, 읽다, 학습, 단어, 학습장애, 방법, 활용, 효과, 중재, 능력, 쓰기, 위, 향상, 측정, 기초, 제공, 평가, 개념, 교육과정, 글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