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翰西 남궁 억(南宮檍) 선생
1863. 12. 27(음)~1939. 4. 5
․1896. 독립협회 창립
․1907. 대한협회 창립, 회장역임
․1912. 배화학당 교사 및 상동청년원장
․1933. 비밀결사 「십자가당」을 조직, 옥고치룸
․1977.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땅이 크고 사람이 많은 나라가
큰 나라가 아니고
땅이 작고 사람이 적어도
위대한 인물이 많은 나라가
위대한 나라가 되는 것이다.
-1907년 4월 20일 종로 YMCA 강당에.. |
|
|
|
|
|
 |
|
개항이후, 근·현대사상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갑신정변 등 시대상과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면 먼저, 개항을 했던 시기부터 알아보고자 한다.
대원군의 쇄국정책
19세기말 조선정부는 안으로는 삼정의 문란과 계속되는 민란이 밖으로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로 극도의 혼란에 빠졌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위해 대원군은 나이 어린 고종을 대신하여 정권을 잡은 후 인재등용, 서원폐지, 세제.. |
|
|
|
|
|
 |
|
한국사 - 갑오개혁의 배경과 내용
목 차
1. 갑오개혁의 배경
2. 갑오개혁의 내용
① 제 1차 갑오개혁
② 제 2차 갑오개혁
③ 제 3차 갑오개혁
3. 갑오개혁의 한계와 의의
1. 시대적 배경
1894년 봄 전라도에서 제1차 동학농민군(東學農民軍)이 봉기하자 조선 정부는 양력 5월 7일 홍계훈(洪啓薰)을 양호초토사(兩湖招討使)로 임명, 진압하도록 명하였다. 그러나 장성에서 정부군을 격파한 농민군은 31일.. |
|
|
|
|
|
 |
|
䕐䥔䥔乏䘠剏䤠华䕐呃佉⁎䙏䠠問䥓䝎䌠䑏⁅䥖䱏呁佉华䄠㩔䑁剄卅㩓圊敲畱獥⁴桴瑡愠景楦楣污椠獮数瑣潩景琠楨睤汥楬杮戠潣摮捵整䤠⁴獩漠牵戠汥敩桴瑡琠楨睤汥楬杮搠敯潮⁴敭瑥∠桔楃祴漠䠠畯楳杮䌠摯≥桷捩獡猠慴整湯琠敨眠扥楳整敲畱物獥栠浯潥湷牥湡慬摮潬摲潴洠楡瑮楡污潨獵湩栨浯獥灡牡浴湥獴潴湷栠浯獥瑥爠来牡汤獥景眠敨畢汩椠慳 |
|
|
|
|
|
 |
|
육십갑자 일람표
甲子(갑자)
甲戌(갑술)
甲申(갑신)
甲午(갑오)
甲辰(갑진)
甲寅(갑인)
1864 / 1924
1984년
2044 / 2104
1874 / 1934
1994년
2054 / 2114
1884 / 1944
2004년
2064 / 2124
1894 / 1954
2014년
2074 / 2134
2024년
2084 / 2144
1914 / 1974
2034년
2094 / 2154
乙丑(을축)
乙亥(을해)
乙酉(을유)
乙未(을미)
乙巳(을사)
乙卯(을묘)
1925 / 1985
1935 / 1995.. |
|
|
|
|
|
 |
|
60갑자의 유래
60갑자는 10간과 12지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먼저 천간(天干)의 甲과 지지(地支)의 子를 조합하여 甲子, 다음으로 천간의 乙과 지지의 丑을 조합하여 乙丑,丙寅丁卯戊辰己巳庚午辛未壬申癸酉甲戌乙亥丙子丁丑...와 같이 天干과地支에서 한자씩 순서대로 조합하여 60개를 만든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천간 한 개는 6개의 지지와 조합됩니다.
60갑자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甲子
.. |
|
|
|
|
|
 |
|
목차
Ⅰ.서론
Ⅱ.본론
A.전쟁의 배경
B.1차 봉기
C.집강소 시기
D.청일 전쟁과 2차 봉기
Ⅲ.결론
역사적 의의
Ⅰ.서론
19세기의 조선봉건사회는 봉건체제의 반발현상과 더불어 봉건지배계층에 대한 사회기층인 농민들의 저항이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 같다. 농민들의 저항으로서의 민란은 이미 해체기에 직면한 조선봉건사회가 안고있는 제반 모순이 가장 집약적으로 표출된 양상이.. |
|
|
|
|
|
 |
|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의 주요 내용과 함께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을 정리했습니다. 참신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참고하시여 작성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
저자 이덕일은 항상 역사에서 비주류 인물과 정쟁의 패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글을 쓰는 역사학자다. 이 책의 사도세자도 그렇고, 전작의『윤휴와 침묵의 제국』에서의 윤휴,『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의 .. |
|
|
|
|
|
 |
|
茶山 정약용
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목 차
Ⅰ. 왜 정약용인가
Ⅱ. 茶山 정약용
1.茶山의 생애
2.정약용의 실학세계
3.저서로 본 정약용의 사상
Ⅲ. 오늘날 되새기는 茶山 정약용
Ⅰ. 왜 정약용인가
우리나라
대표 지식인
유네스코 2012 세계문화인물 선정
조선후기 ≒ 오늘날
사회 모순의 심화
Ⅱ-1. 茶山의 생애
1762(영조38, 壬午) 6월 16일
경기도 광주 초부면 마재에서 丁載遠과 海南 尹氏 의 넷째아.. |
|
|
|
|
|
 |
|
오 차
1)오차의 정의
① 절대오차
오차는 측정값 M과 참값 T의 차 x이다.이것을 절대오차라 한다.
오차는 개인의 습성,기계의 부정,외계의 영향등응로 규칙적,불규칙적으로 필 연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계통오차 --- 개임오차,기계오차,외계오차
과실오차 --- 측정시의 과실로 인한 오차
계통오차와 과실 오차는 원인을 찾아 직접 보정할수 있다.그러나 미세요인의 오차나 그의 집적으로 생기는 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