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수업지도안 - 미술과 수업연구 지도안 |  
        |  |  
        |  |  
        |  |  
        | 미술과 수업연구 지도안 
 목차
 [1]단원의 지도계획
 
 1 단원명
 2 단원의 설정 이유
 3 단원의 교수 학습 목표
 4 단원의 교수학습 모형과정
 
 [2]본시 학습 계획
 1 본시의 주안점
 2 본시학습
 3 교수- 학습방법
 4 단원의 전개 계획
 5 지도상 유의점
 6 본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7 평가
 
 1 단원의 지도 계획
 
 1. 단원명
 대단원:미술과 형대
 중단원:사실에서 추상까지
 소단원:사실적표현과 추상적표현을 이용한 정물그리기
 
 2. 단원의 설정이유
 미술학습을 통해 현대회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여 사물을 다양한 시선으로 볼수있는 자세를 기르고자한다
 조별간의 표현활동을 함으로써 다양한 표현기법을 접하고 친화력과 협동심을 기를수있다
 
 3 단원의 교수학습 목표
 *사실과 추상의 표현개념을 다양하게 설명할수있다
 *사물과 대상을 관찰후 사실화와 추상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할수있다
 *조별활동을 함으로써 개인의표현과는 다르게 협동심을 발휘해 창작물을 만들어낼수있다
 
 4 단원 교수의 학습모형 과정
 -감상능력과 반응 중심적 학습법
 [반응형성]- 관련된 작품을 탐색하고 감상함으로써 동기 유도를 한다 .
 [반응명료화]- 형성된 반응에 대해서 친구들과 토의 질문들의 활동으로 자신의 반응을 명료화하고 의식화 한다.
 [반응심화]-시각적 대상을 보고 몰입하여 탐색하고 자신이표현하고 싶은 느낌과 대상표현에 적합한지 연관지어 보도록 한다.
 [반응내면화]-학생들이 자신의 미술적 반응에 대해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도록 하여 미술적 체험의 확대와 심화에 대한 긍적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과정
 중심활동
 반응형성
 학생들이 사실적 표현과 추상적 표현에 대한 선지식을 획득한 후
 학습동료들과 반응 할수있도록 한다
 반응명료화
 형성된 반응을 토대로 학습동료들과 질문 토의의 활동으로
 반응을 명료화 하도록 유도
 반응심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