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시-’
리포트 > 사회과학
[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시-’
한글
2014.09.26
6페이지
1. [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
2. [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
[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시-’
[국제 인문학] 주체 높임과 선어말어미 ‘-시-’

차례

1. 서론
2. 본론
1) 주체높임법
① 주체 경어법에 대한 앞선 정의
② 주체 경어법에 대한 새로운 개념 정의
③ 주체높임법의 결정요인
⓸ 주체높임의 실현 요소와 요소의 일치
2) ‘-시-’와 주체높임
① ‘-시-’의 역할
➁ -시-‘의 확대
1〕. 표면적으로 사물 주어와 연결되는 -시-‘의 쓰임

2〕 청자를 높이기 위한 ‘-시-’의 쓰임
3) ‘-시-’의 기능이 청자를 높이기 위한 기능으로 확대된 원인
3. 결론.

1. 서론
영어와 달리 한국어는 경어법 체계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경어법은 어떤 인물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나이가 많은 사람이나 윗사람을 대할 때는 그 인물을 높여 말해야 하며 반대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는 그 인물을 낮춰 말해야 한다. 모든 상황에서 높임과 낮춤이 지켜지는 것은 아니지만 윗사람을 대할 때에는 대게 높임법 사용을 엄격히 하고 예의로 여긴다. 높임법의 예를 들면 친구나 아랫사람에게는 ‘밥을 먹다’라고 표현하지만 윗사람에게는 ‘진지를 잡수시다’라고 말한다. 높임법은 높임의 대상이 누구인지에 따라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나뉜다. 주체높임법은 문장의 주체를 높이는 것으로 주로 선어말 어미1) ‘-시-’에 의해 높여진다. ‘가다’ ‘가시다’, 보다‘ ’보시다‘와 같이 용언2)에 ’-시-‘가 붙어 높임말을 나타낸다. 객체 경어법은 주어가 행위를 미치는 대상을 높이는 것이다. 객체 경어법에서 객체가 높여질 때 주체는 낮아진다. 상대 경어법은 듣는 사람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한국어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높임법이 사용되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주체높임법과 주체를 높이는 선어말어미‘-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1) 주체높임법
....
중세 경어법(높임법) 객체 존대
높임법의 유형과 체계를 기술하고 높임법을 사..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오-’의 두 가지 설
접미사와 어미의 차이 중세 국어 <-오/우->의 기능 연구
미래시제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역사적 고찰 시제- ‘-었-’의 형성과정과 실현, 의미에 관하..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독후감 감상문 서평 요약..
높임법의 유형과 체계를 기술하고 높임법을 사.. 국어학입문,존대법,존대말,존칭
[국제관계와 국제경제관계] 국제경제사회의 이.. [무역거래] 무역거래의 주체와 관리
 
외국인대상 국어교육 -‘높임법..
한국. 우리나라 교육문화의 분..
한국 사회의 지역사회복지와 ..
[아동수과학지도] 수,과학교육..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중 감..
기획의 의의와 사회복지조직에..
-기획의 필요성에 대하여 구체..
장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