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자원개발] 특정 관광지 분석 - 광안리 발전 방향
리포트 > 경영/경제
[관광자원개발] 특정 관광지 분석 - 광안리 발전 방향
한글
2014.04.17
11페이지
1. [관광자원개발] 특정 관광지 분석 - 광안리..
2. [관광자원개발] 특정 관광지 분석 - 광안리..
[관광자원개발] 특정 관광지 분석 - 광안리 발전 방향
목 차

1. 광안리해수욕장 소개
(1)위치 및 면적
(2)광안리해수욕장의 유래
(3)광안리해수욕장의 관광자원
2. 광안리해수욕장 관광자원요소별 분석
(1)천연적 자원요소
(2)인공적 자원요소
(3)문화적 자원요소
(4)시설‧접근성 요소
3.문제점 개선 및 해결 방안
(1)환경적 문제
(2)관광자원적 문제
(3)기반시설 및 관광시설
(4)광안리해수욕장의 관광상품개발
4.결론
참고문헌

1. 광안리해수욕장 소개
(1)위치 및 면적
광안리해수욕장은 부산시 수영구 광안2동에 위치해 있으면 민락동과 남천동으로도 접해 있다. 해운대와 더불어 부산의 대표적 해수욕장으로서 총면적 82,000㎡, 사장길이 1.4㎞, 사장 폭은 25∼110m이다. 주차시설은 300대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2)광안리해수욕장의 유래
오늘날의 광안리해수욕장 자리는 수영의 옛 이름 남촌(南村)의 사장(沙場)이라 하여 남장 (南場)이라고 불리었다. 이 남장은 지금의 남천동 삼익비치맨션 동북쪽에서 민락동의 바다매립지까지가 되어 지금보다 더 길고 넓게 반원형으로 휘어진 사장이 바다에 접했다.
예전에는 오늘날의 광안리해수욕장 뿐만 아니라 수영해수욕장이란 이름을 가졌던 지금의 센텀시티의 남쪽 자리인 88올림픽 동산이나 요트경기장의 육지지역이 바다였고 그 센텀시티가 비행장이 되어 통제를 받기 이전의 1950년대까지만 해도 여름철의 좋은 해수욕장이었다. 그러나 수영해수욕장이 비행기 활주로로 활용되면서 해수욕장 구실을 못하게 되자 광안리해수욕장이 각광을 받게 되었고 1960년에 공설해수욕장으로 개방되었다.

(3)광안리해수욕장의 관광자원
①해수욕장
-성수기 피서철 해수욕장으로서의 활용도가 높다. 부산에서는 해운대해수욕장 다음으로 많은 피서객이 찾고 있다. 하루최대 30~40만명, 지난해는 900만명의 피서객이 방문했고 2002년부터 매년 20%이상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②공원 및 주변 시설
....
[관광개발] 관광개발의 기초이론(개념, 내용, .. [관광개발과 자연보호] 관광개발과 공간구조, ..
[문화관광개발] 문화관광개발과 문화관광자원의.. [관광개발] 관광개발의 의의와 발전과정, 목적,..
전주시 관광지 개발, 관광자원 개념, 특성, 문.. [환경친화적 관광개발] 환경친화적 관광개발의 ..
관광지 개발 사례, 유후인 마을, 일본, 보라카.. [관광시장과 관광객의 유동] 관광시장의 구조, ..
관광자원의 개념과 관광자원의 이용 관광지 개발의 사례, 유후인 마을, 일본, 보라..
[해양관광자원 개발정책] 해양관광개발 정책방.. 두바이 관광지 개발 사례, 관광 아이템, 특징, ..
생태 관광 상품, 여행 정보, 일정, 현황, 계획,.. 스포츠 관광 상품, 정보, 일정, 현황, 계획, 관..
 
지형학적 모형(의식, 전의식, ..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에 대..
유통산업,수산물유통산업
이마트(e-MART)의 중국진출전..
광고학개론 요약
빈민법(구빈법)의 등장배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