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일반생물학 실험] PH와 완충액 측정 |  
        |  |  
        |  |  
        |  |  
        | PH와 완충액 측정 
 Introduction
 
 -실험의 목적
 PH와 완충용액의 정의를 알고, pH의 측정과 완충작용에 따른 PH의 변화를 관찰하고 비교한다.
 
 -실험의 이론적 배경
 
 ▶PH: 용액의 산성도를 알 수 있는 척도
 -보통 산도나 염기도를 나타내기 위해 PH척도를 사용한다. PH척도의 범위는 0에서 14이다.
 7은 중성을 나타내고 7 아래로 내려갈수록 산도가 증가하고, 7 위로 올라갈수록 염기도가 증가한다.
 PH 척도의 수는 수소 이온 농도에 직접 관련되어 있다. 순수한 물은 완전히 H2O 분자 형태로 존재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도 있지만 물 분자 5억개 중의 1개는 H+이온과 OH-이온으로 분해된다.
 이것은 순수한 물의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의 농도가 0.0000001 mol/L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수는 H+의 몰농도를 나타내는 10의 거듭제곱수에서 음의 부호를 제거한 것이다. 따라서 PH를 수소 이온 몰농도에 음의 로그를 취한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pH = -log10[H+], 혹은 [H+] = 10-pH
 
 PH[7.0 이면 용액은 산성
 PH=7.0 이면 용액은 중성
 PH]7.0 이면 용액은 염기성
 
 PH는 산- 염기 지시약으로 그 근사값을 알수 있다.
 
 ▶산- 염기 완충용액
 완충용액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원래의 상태나 구조를 유지하는 동안 그것을 방해하려는 것을 없애는 충격완화제 이다. PH 조절은 산이나 염기가 갑자기 ‘충격적’으로 가해진다 하더라도 산성도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킨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완충용액은 가해진 산이나 염기와의 반응에서 처음의 PH값과 아주 가까운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화학종을 가진다.
 
 ▶완충액 제조법 및 수소이온 농도의 계산
 완충용액이란 약산과 그것이 공액염기의 혼합용액으로서 적은양의 산이나 알칼리를 가할 때 그 용액의 PH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