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학]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위의 비교_검토
논문 > 법학분야
[노동법학]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위의 비교_검토
한글
2011.04.29
11페이지
1. [노동법학]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
2. [노동법학]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
[노동법학]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위의 비교_검토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 법적지위의 비교․검토

목차

Ⅰ. 서론

Ⅱ. 근로자대표제의 의의
1. 근로자대표제의 도입의미
2. 근로자대표의 개념
1) 법률의 규정
2) 근로자대표에서의 ‘대표’의 개념
3) 근로자대표의 개념

Ⅲ. 근로자대표와 노동조합의 비교
1. 피대표자의 범위와 성격
2. 의견의 대표자로서의 근로자대표
3. 대표자와 피대표자와의 관계
4. 대등한 노사관계의 보장문제
5. 소결

Ⅳ. 근로자대표제의 문제점
1. 근로자대표의 피선자격
2. 근로자대표의 선정방법
3. 근로자대표의 권한통제
4. 근로자대표의 기간별 설정
5. 근로자대표 선정에 관한 사용자의 간섭행위

Ⅴ. 결론
Ⅰ. 서론

1997년 근로기준법의 개정시에 새롭게 근로자대표제가 도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즉 근로기준법 제31조 제3항에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과반수의 근로자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말한다. 이하 ‘근로자대표’라 한다.)”고 근로자대표에 관하여 정의1)1) 개정 전(97.3) 법은 “사업 또는 사업장에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이하 ‘근로자대표’라 한다).”라고 규정하였는데, 형식론적으로 보면 개정 전의 경우에는 과반수 노동조합 또는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근로자대표라고 하고 개정 후의 경우에는 과반수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 선출되는 근로자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하고, 기타 여러 조문에서 이러한 근로자대표가 서면합의 또는 협의 등의 방법으로 근로조건의 규율에 관여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
노동조합 전임자의 법적 지위 사업이 전과 근로자 대표의 지위에 대하여
노동조합 조합원의 지위와 권리의무 관련 판례 .. 보호와 평등과 공정을 바탕으로 한 노동법의 이..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의 법적 지위 노동조합의 설립요건과 법외 노조의 법적 지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대표의 개념과 서면 합의.. 노동관계법 상 노동조합의 해산과 조직변경에 ..
노동조합의 해산에 대하여 약술하라 노동위원회의 구성에 대한 법적 검토
노동조합의 조합원의 지위취득상실 및 제한 [노동법학] 구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40..
노동조합의 조직변경에 대하여 논하라 프랑스의 단체교섭 제도
 
제조물책임(PL)법 시행의 의의..
[법학] 호주의 법률구조제도
제조물책임(PL)법 시행의 의의..
[개별적 근로관계법] 징계사유..
[개별적 근로 관계법] 연차휴..
[노동법학 논문] 전출근로(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