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한국문학의 이해 - 처용가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처용은 어떠한 존재인가에 관해[처용가 분석] |  
        |  |  
        |  |  
        |  |  
        | 한국문학의 이해 
 Ⅰ. 처용가에 대한 고찰
 
 원 문
 해 석
 東京明期月良 (동경명기월랑)
 夜入伊遊行如可 (야입이유행여가)
 入良沙寢矣見昆 (입랑사치의견곤)
 脚烏伊四是良羅 (각오이사시랑나)
 二兮隱吾下於叱古 (이혜은오하어질고)
 二兮隱誰支下焉古 (이혜은수지하언고)
 本矣吾下是如馬於隱 (본의오하시여마어은)
 奪叱良乙何如爲理古 (탈질랑을하여위리고)
 서울 밝은 달밤에
 밤 깊도록 놀고 지내다가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내 아내 것이지마는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다만은 내 아내이지만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 갈래 : 8구체 향가
 ◉ 성격 : 주술적 무가, 축신(逐神)․축사(逐邪)의 노래
 ◉ 특징 : 풍자적, 체념적인 농사(弄詞)의 사용
 ◉ 의의 : 벽사진경의 무가, ‘나례’ 등의 의식무에 등장한 노래, 향가 해독의 근거가 됨
 ◉ 주제 : 축신(逐神;역신(疫神)을 쫓음), 벽사진경
 ◉ 지은이 : 처용 - 신라 49대 헌강왕 대(9세기 경)의 작품
 ◉ 전반 4구 - 아름다운 아내를 탐한 역신의 침범
 ◉ 후반 4구 - 역신에 대한 처용의 관용 또는 체념
 
 Ⅱ. 배경설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