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부직포공학] Dry-lay 부직포 제조방법별 특징 및 용도 부직포 신기술 제품 및 동향 |  
        |  |  
        |  |  
        |  |  
        | [부직포공학] Dry-lay 부직포 제조방법별 특징 및 용도 부직포 신기술 제품 및 동향 
 Contents
 
 부직포 제조방법별 특징 및 용도
 1.
 P.P Spun-bonding Nonwoven Fabric
 2.
 Needle-punching Nonwoven Fabric
 3.
 Needle-punching Nonwoven Fabric
 4.
 Spunlace Nonwoven Fabric
 5.
 Chemical-bonding Nonwoven Fabric
 6.
 Melt-blown Nonwoven Fabric
 7.
 Stich-bonding Nonwoven Fabric
 부직포 신기술 및 제품, 동향, 전망
 1.
 ASAHIKASEI : SMASH
 2.
 ASAHIKASEI : 극세 스펀본드 PRECISE
 3.
 KURARAY : 극세섬유 멜트블로운 부직포 KURAFLEX
 4.
 KB Seiren : 점착성 폴리우레탄 부직포 Espansisone FF
 5.
 부직포 섬유 개발방향
 Reference
 
 부직포 제조방법별 특징 및 용도
 
 1. P.P Spun-bond Nonwoven Fabric
 가. P.P스펀본드란
 1) 100%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멜트 브로운 부직포
 가) 100% 폴리프로필렌을 원료로 생산하는 장섬유 부직포로서 스펀본드 부직포 SS, 멜트브로운 부직포 MB, SMS(스폰본드+멜트브로운+스펀본드), SMMS(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SSMMS(스펀본드+스펀본드+멜트브로운+멜트브로운+스펀본드), XSMMSX(PE,PP+PP+MB+MB+PP+PE,PP) 부직포의 여섯종류로 생산되며 최대 폭은 5.2M 폭까지 생산 가능합니다.
 나)
 나. P.P스펀본드의 특징
 (1) 뛰어난 촉감 및 유연성
 (2) 우수한 통기성 및여과 기능
 (3) 높은 단열 및 보온력
 (4) 발수성(단, 용도에 따라 친수성 처리 가능)
 (5) 항균성
 (6) 우수한 내화학성, 난연성, 내약품성
 (7) 다양한 색상 표현 가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