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배를 끊고, 술을 멀리하다…. 연령별 사망률(2002년, 인구 10만명당)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 질환(2001년) (인구 십만명당 사망률)
 담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흡연
 예방 가능한 질병 및 조기사망의 원인 중 가장 중요
 흡연자 두명 중 한명 꼴로 흡연과 관련한 질병으로 사망
 미국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연간 44만명, 20세기에 지구상
 에서 발생한 모든 전쟁에서 사망한 미국민의 숫자를 합한
 것보다 많은 수
 1995년 현재 1-17세 사이 어린이 및 청소년 인구 중 5백만
 명이 흡연과 관련된 질병으로 인해 조기 사망
 우리나라 흡연율(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남성: 61.8%
 여성: 5.4%
 담배 연기의 성분
 900℃
 4,865종의 화학 물질
 (43종의 발암물질)
 가스상 물질
 일산화탄소(2.8 -4.6%), 질소(56-64%), 산소(11-14%),
 이산화탄소(9-13%),등.
 그외 수소, 메탄을 비롯한 각종 탄화수소, 휘발성 알데하이드 및 케톤, 벤젠, 수소, 질소산화물, 시안화수소, 휘발성 니트릴
 400-500㎎의 연기 발생(한개피), 400-500 종류의 가스 성분
 입자상 물질
 염색체 이상이나 암을 유발시키는 대부분의 물질,
 니코틴(살충제 성분), 다이옥신, 유해금속(알루미늄, 카드뮴, 수은, 니켈 등), 다방향족 탄화수소, 방사성 물질(라듐, 라돈, 폴로늄 등) 등
 환원작용 결과 암모니아, 방향족 아민, 휘발성 발암성 아민 등 발생
 지름이 0.1 ㎛이상(타르)
 간접흡연의 영향
 니코틴 중독의 기전
 니코틴 중독
 담배를 피우면 정말 병에 걸리나
 흡연과 건강
 흡연 시작 연령
 25세 - 평균 4년 단축
 15세 - 평균 8년 단축
 흡연으로 인한 수명단축
 담배 한 개피당 평균 7분 단축
 흡연량
 25세 하루 한갑 -4.6년 단축
 하루 두갑 -8.3년 단축
 우리나라의 주요 암에 의한 사망률 추이(인구 십만명당 사망률, 1989-2001)
 미국의 담배 판매량 추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