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국내 코제너레이션 발표 |  
        |  |  
        |  |  
        |  |  
        | 1 『 국내의 코제너레이션』
 2
 List
 List
 ☆ 목 차 ☆
 코제너레이션의 정의
 분류
 열병합발전의 특징
 우리 나라의 열병합발전 현황
 국내 기업의 성과 개발 현황
 정책지원
 전망
 3
 코제너레이션의 정의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열병합발전 시스템으로 에너지 이용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고효율의 에너지 절약 시스템이다.
 4
 열병합발전 시스템 분류
 열병합발전 시스템
 분류
 원동기에 따른
 분류
 적용대상에 따른
 분류
 적용형태에 따른
 분류
 5
 원동기에 따른 분류
 원동기에 따른 분류
 증기터빈 방식
 가스터빈 방식
 디젤엔진 방식
 가스엔진 방식
 가스 및 증기터빈 복합발전 방식
 6
 적용대상 및 형태에 따른 분류
 적용형태
 자가발전
 집단에너지공급
 적용대상
 산업체
 건물
 7
 열 병합 발전의 특징
 장
 점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종합효율 75~90%(화력발전 40%이하)
 환경친화적인 시스템
 천연가스이용, CO2, NOx, SOx 감소
 (CO2 20~50%감소)
 분산형전원, 비상발전
 자체적으로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
 발전소 및 가스저장시설 비용 회피
 송전손실 감소
 단
 점
 초기 투자비 과다
 규모의 비 경제성 위험
 설비수입으로 설치비용과대
 유지비용 크고 보수곤란
 국내 기술부족 및 외산 자재 확보의
 어려움으로 비용이 크고 장기간소요
 투자비 회수 위험
 열전비 및 열전수요 부적절시
 8
 우리나라 열병합발전 현황
 (1) 대형 가스발전소(가스복합 화력 발전소)
 총효율 40~50%(전력만 생산)
 가스터빈으로 1차발전, 폐열은 회수하여
 스팀터빈으로 2차 발전
 용량 : 50~150MW
 실례 : 부산 복합화력발전소
 9
 우리나라 열 병합발전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