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뉴타운 사업의 이해와 추진방향 2
 뉴타운 사업의 추진배경 및 개념
 뉴타운 사업의 유형 및 사업방식
 뉴타운 사업 추진절차
 뉴타운 사업계획
 뉴타운 개발계획
 2차 뉴타운 추진현황 및 방향
 3차 뉴타운 개발계획 수립
 3차 뉴타운 과업의 범위 및 추진계획
 정책과제
 목차
 1234567893
 1. 사업의 추진 배경 및 개념
 ● 1960∼1970년대 : 개발과 인구 집중
 - 인구 집중으로 서울확대, ’68년 강남개발 시작, 청계천 복개화
 -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단독주택지 조성(강북/강서 지역등)
 ● 1980∼1990년대 중반 : 성장과 확산
 - 86아시아, 88올림픽 인프라 구축, 강남 개발 완료
 - 도시적 차원의 생활공간 조성시도, 저층 주거지 고층 고밀 개발
 ● 1990년대 중반~2003년대 : 지역간 불균형 초래
 -신 개발된 강남에 비해 구시가지인 강북 낙후 → 개발에 대한 반성
 - 과도한 개발에 대한 도시환경 악화 비판
 〈강남북 인구 분포 비율 변화〉
 ● 1400∼1910년대 : 조선시대의 수도
 - 1394년 조선개국과 동시에 수도로 지정, 600년된 고도로 강북지역에 위치, 성곽도시
 서울의 발전 연혁
 4
 지역특성을 도외시한 개발이익 중심 민간개발로 도시정비수준 저하
 개별 주택가치 중심, 고밀, 차폐형 건축 등 획일적인 개발로 도시경관 저해
 개발편의 위주 구역결정 - 기반시설 수용량 초과, 연계성 저하, 구역내외 불균형
 주민 특성과 도시구조를 충분히 배려하지 않은 개발
 자치구간 불균형 심화
 기존방식의 도시정비사업 난개발 초래
 사업의 추진 배경
 5
 뉴타운 사업의 기본 개념
 지역별 특성을 살려 적정규모의 생활권역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도시재정비
 인간중심의 교육, 문화, 복지 등 고품격의 주거환경 조성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함께 어울려 사는 도시공동체 건설
 ▶기존 민간 주도 재개발의 문제점(난개발) 보완차원에서 출발
 ▶난개발 예상지역 선계획 수립후 단계별, 블럭별, 순차적 민간개발 유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