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노동부 웹 접근성 구축 사례 |  
        |  |  
        |  |  
        |  |  
        | 노동부 웹 접근성 구축 사례 Ⅰ.웹 접근성의 이해
 공평한 웹
 웹 접근성
 웹 접근성 실무
 공평한 웹
 나의 눈
 공평한 웹
 다른이의 눈
 웹 접근성
 웹
 접근성
 모든 사용자
 모든 환경
 시각, 청각, 지체, 색약, 색맹 장애를 가진 사용자
 고령자, 컴퓨터 사용 초보자
 비장애인 등 모든 사용자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동등한 정보제공 (IE, Firefox, Opera, Safari 등)
 모든 보조기기를 통해 동등한 정보 이용 가능 (스크린리더, 점자키보드 등)
 장애인
 노약자
 일반인
 다양한 브라우저 및 기기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것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가 표준 기술가이드라인 지표기준
 
 정보소외 계층 정보접근 강화
 - 사회적 약자(장애인, 노인 등) /
 - 기술적 약자(인터넷 초보자, 저사양
 PC, 이질적 SW사용자 등) 배려
 Standard
 Accessibility
 Universal
 Design
 개방형 인터넷 표준_권고안 (W3C) 을 준수하여 옳바른
 문법작성표현언어(HTML)와 디자인(CSS)을 분리하여
 문서의 논리적 구조화, 웹 접근성 준수, 유지보수 용이성 제고
 WEB Accessibility
 휴머니즘과 감성이 느껴지는 이러한 사고방식은 혁신적인 디자인을 가능하게 함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사용하는데 자유도가 높을 것.
 사용법이 간단해서 바로 알수 있을 것.
 필요한 정보를 바로 이해할 수 있을 것.
 실수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을 디자인일 것.
 무리한 자세를 취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접근하기 쉬운 공간과 크기가 확보되어 있을 것.
 웹 접근성 실무
 Ⅱ.웹 접근성 구현
 웹 접근성 구현
 사업: “노동부 홈페이지 개편 사업”
 사업 기간 : 2008년 08월 05일 부터 2008년 11월 30일 까지
 추진 부서 : 노동부 정보화담당관실
 추진 업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