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 기법
치료자는 가족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전략을 설계하여 단기간 내 변화를 유도한다.
그러나 전략적 가족치료에서는 문제행동을 순환적인 과 관계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전략적 가족치료에서 중요한 통찰은 문제를 유지시키는 것은 종종 가족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 자체라는 점이다.
이들은 사이버네틱스와의사소통 이론을 가족치료에 적용하여, 문제 행동을 가족 내 상호작용 규칙의 산물로 이해하였다.
가족 구성원의 증상(특히 아동의 행동 문제)은 가족체계 내에서 일정한 기능을 한다.
아동의 행동 문제→부모 갈등 완화 →가족 유지.
밀란 학파는 전략적 가족치료에 새로운 차원을 더했다.
|
|
|
 |
각 학파는 공통적으로 가족 내 상호작용의 순환성을 강조하면서도, 문제 유지기제와 변화전략을 설명하는 방식에 있어 서로 다른 이론적 강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략적 가족치료는 단순히 하나의 이론이라기보다, 체계적 사고를 바탕으로 가족 문제에 전략적으로 개입하는 다양한 접근들의 총칭이라 할 수 있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전통적인 개인 중심 치료와 달리, 문제를 개인 내부에서만 찾지 않고 가족이라는 상호작용 체계 속에서 바라보는 접근이다.
문제는 가족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그러나 전략적 가족치료에서는 문제행동을 순환적인 과 관계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순환적 사고, 문제 유지기제에 대한 통찰, 치료자의 전략적 개입, 단기적·실용적 접근, 그리고 증상의 기능적 이해는 전략적 가족치료가 가진 독창성과 임상적 유용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본원리는 이후 발전한 MRI 학파, 헤일리·마다네스 학파, 밀란학파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며, 각 학파의 특수한 이론적 강조점과 기법의 차이를 이해하는 토대가 된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공통적으로 가족의 문제를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고, 치료자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단기간 내 변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같은 뿌리를 갖는다.
MRI 학파는 문제를 유지하는 잘못된 해결 시도를 중단시키고, 가족이 새로운 상호작용 규칙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후 CloeMadanes와 함께 발전시킨 학파는 권력관계와 위계질서 문제를 가족 문제의 핵심으로 파악하였다.
Gregory Bateson: 의사소통 이론과 사이버네틱스 개념을 가족치료에 접목.인간 행동을 체계적 피드백과정으로 설명.
DonJackson: '가족항상성(homeostas is) '개념을 발전시켜, 가족이 변화보다 안정적 균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
사이버네틱스 : 체계는 피드백과정을 통해 균형을 유지하거나 변화를 추구한다.가족도 하나의 체계로서 상호작용을 통해 증상과 문제를 유지한다.
MRI 학파는 전략적 가족치료의 기초를 닦은 학파로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문제를 유지한다"는 핵심통찰을 바탕으로, 2차 변화를 촉진하는 단기·전략적 개입을 강조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략적 가족치료는 MRI 학파의 문제 유지기제 중심 접근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가족 내 권력과 위계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학파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역기능적 가족에서는 부모가 권위를 잃고, 아동이 '대리부모(parentifiedc hild)' 역할을 하는 등 위계질서가 뒤집히기도 한다.
건강한 가족은 부모가 상위에 있고 자녀는 그 아래에 위치한다.
위계가 무너지면 아동이 부모를 대신하거나 부모가 자녀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게 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아동의 행동 문제→부모 갈등 완화 →가족 유지.
가족은 특정한 '게임 규칙'을 따르고 있으며, 이 규칙은 무의식적으로 문제를 유지한다.
증상이나 문제행동을 가족체계 내에서 긍정적 기능으로 해석한다.
밀란 학파의 치료 목표는 단순히 증상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 자신들의 게임 규칙과 상호작용 패턴을 자각하고 새로운 의미체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긍정적 의미 부여 : 증상을 가족을 위한 노력으로 재해석.
밀란 학파는 전략적 가족치료의 틀 안에서 가족을 게임 체계로 이해하고, 순환적 질문, 긍정적 의미부여, 중립성이라는 독창적인 기법을 발전시켜 가족의 인식체계를 변화시키고 증상을 재해석하도록 도왔다.
개념 : 문제 행동이나 증상의 의미를 다른 맥락에서 긍정적·중립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기법.
효과 : 증상에 대한 내담자의 저항과 집착을 줄이고, 문제 행동을 역설적으로 약화시킨다.
개념 : 특정 증상을 의도적으로 수행하도록 과제를 부여하는 기법.역설적 개입과 유사하지만, 더 구체적인 행동지시를 포함한다.
목적 : 문제 행동을 '통제 불가능한 것'에서 '의도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으로 전환시켜, 가족과 내담자의 인식을 변화시킨다.
개념 : 치료자가 가족에게 특별한 의례적 행동을 지시하여 가족관계의 새로운 의미를 체험하게 한다.
순환적 질문과 긍정적 의미부여는 가족인식을 전환시키며, 메타커뮤니케이션과 의례는 새로운 관계 문화를 형성한다. |
 |
가족, 치료, 문제, 학파, 전략, 변화, 행동, 증상, 체계, 유지, 부모, 상호작용, 새롭다, 의미, 개입, mri, 내, 단순하다, 기능, 접근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