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칼로저스(CarlRogers)의 인간 중심상담이론에서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태도를 설명하시오.
칼로저스의 인간 중심상담이론과 상담자의 태도
3페플라우의 간호사-환자 관계에서의 6가지 역할
이어서로저스의 인간 중심 상담이론에서 상담자의 태도를 설명하고, 이를 자기 성찰과 연결한다.
추상적 개념은 물리적으로 관찰하기 어렵고, 인간의 사고와 경험을 통해 이해되는 개념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 생각,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돕는 상담자의 역할을 한다.
페플라우(HildegardPeplau)의 간호사-환자 관계 이론에서 제시된 여섯 가지 역할은 간호사가 단순한 치료 제공자를 넘어 인간관계의 조력자이자 상담자임을 보여준다.
개념의 정의는 학문적 토대와 사고의 틀을 제공하였고, 로저스, 페플라우, 베너의 이론은 상담자와 간호사로서의 역할, 태도, 발달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
|
 |
4베너의 전문가 이론 5단계와 자기 평가
구체적 개념(Con creteConcept
구체적 개념은 연구와 실무에서 비교적 측정 가능성과 객관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추상적 개념(AbstractConcept
추상적 개념은 물리적으로 관찰하기 어렵고, 인간의 사고와 경험을 통해 이해되는 개념을 의미한다.
사례1(일상생활) : '자유', '정의', '사랑'은 추상적 개념이다.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의 비교와 연계
상담자는 내담자를 판단하거나 조건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 자체로 존중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예시 : 내담자가 범법행위나 비윤리적 경험을 고백하더라도, 상담자는 그것을 즉시 비난하기보다 내담자가 그러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맥락을 이해하려 한다.
공감은 단순히 동정(sympathy)이 아니라,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내담자의 눈으로 바라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다.
예시 : 내담자가 "저는 항상 외롭다고 느껴요."라고 말했을 때, 상담자가 "당신은 주변에 사람이 있어도 여전히 고립감을 느끼는 군요."라고 반영하면, 내담자는 자신이 진정으로 이해받고 있다는 감각을 갖게 된다.
예시 : 상담자가 내담자의 말에 혼란을 느끼거나 즉각적인 반응을 하게 될 때, 이를 숨기기보다 솔직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 진실성의 한 예이다.
이 세 가지 태도가 상담과정에서 실현되면, 내담자는 자신이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 속에 있다는 확신을 얻게 된다.
예컨대 청소년 내담자가 진로 불안으로 상담을 받는다고 가정하자.
또한 공감을 통해 불안의 감정을 함께 공유하고, 일치성을 통해 진실되게 반응할 때 내담자는 점차 자신의 내적 욕구를 탐색하고 방향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건강관리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환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임상예시 : 재활치료 중 환자가 "저는 힘들어서 운동을 포기하고 싶어요."라고 말할 때, 간호사가 "선생님께서 힘들어하시는 마음이 해합니다. 하지만 조금씩 해내고 계신 것이 큰 성과예요.함께 목표를 다시 세워볼까요?"라고 격려하면서 치료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지도자 역할이다.
임상예시 : 장기 입원 환자가 간호사에게 "당신은 마치 제딸 같아요. 곁에 있어 주셔서 고맙습니다."라고 말할 때, 간호사는 단순한 치료자가 아니라 정서적 대리인이 된다.
이 때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을 존중하되, 치료적 관계의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 생각, 경험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돕는 상담자의 역할을 한다.
예시 : 다수의 환자를 담당하면서 간호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지만, 응급상황에서는 즉각적인 직관적 판단이 부족한 경우.
풍부한 경험과 직관적 이해를 통해 탁월한 간호를 수행한다.
나의 현재 업무 수행 수준을 평가했을 때, 나는 적임자(Competent) 단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다.
일정 기간의 경험을 통해 업무를 계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환자의 주요 증상과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응급상황이나 복합적인 환자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아직 능숙자 단계의 직관적·전략적 대처가 부족하다.
나는 현재 적임자 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지속적인 경험 축적과 학습, 자기 성찰을 통해 능숙자와 전문가 단계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개념의 정의는 학문적 토대와 사고의 틀을 제공하였고, 로저스, 페플라우, 베너의 이론은 상담자와 간호사로서의 역할, 태도, 발달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나는 이번 과제를 통해 상담자와 간호사로서의 정체성을 다시금 점검하였으며, 앞으로도 이론을 실천에 적용하고, 경험을 성찰하며,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한다.
Rogers, C.R.(1995/2017).『인간중심상담이론』. 김창대 옮김.학지사. |
 |
상담, 환자, 개념, 간호사, 이론, 경험, 통해, 내, 이해, 담, 역할, 과정, 태도, 인간, 구체, 전문가, 단계, 임, 상, 단순하다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