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은 Piaget의 인지 발달이론을 바탕으로, 아동이 직접 경험을 통해 능동적으로 학습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하이스코프의 핵심은 아동이 학습의 주체적 행위자라는 점이다.
하이스코프에서 교사는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아동의 학습을 촉진하는 동반자이다.
하이스코프는 아동발달 평가를 단순히 결과 측정에 두지 않는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원리는 아동이 주도하는 학습경험을 보장하면서도, 교사의 세심한 지원과 구조화된 환경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균형적이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아동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자율성·창의성·사회성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핵심은 아동을 학습의 주체로 바라보는 데 있다.
하이스코프에서는 관찰과 기록을 중심으로 아동발달을 평가한다.
|
|
|
 |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프로그램의 강점과 약점에 관해 논하시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원리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강점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약점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는 아동을 단순히 교사가 가르쳐야 하는 수동적 존재가 아닌,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는 학습자로 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교육 목표는 교사 주도적 학습이나 단기적 성취가 아니라, 아동이 스스로 선택하고 경험하는 활동을 통해 평생학습의 기초역량을 형성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동은 감각, 신체활동, 언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탐색하고 실험하며 학습한다.
하이스코프 교육원리에서 학습 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원리는 아동이 주도하는 학습경험을 보장하면서도, 교사의 세심한 지원과 구조화된 환경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균형적이다.
이 교육과정은 핵심 발달 지표(KeyDevelopm entalIndicators, KDIs)를 중심으로, 일과 운영, 학습 환경, 교사-아동상호작용, 평가체계가 통합적으로 작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자유선택활동 : 아동이 스스로 하고 싶은 활동을 선택하여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이러한 형성적 평가는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별화하는 근거가 되며, 학부모와의 상담자료로도 활용된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아동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경험을 반복하면서, 자율성·창의성·사회성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계획-실행-평가순환과 KDIs는 학습경험을 구조화하면서도 아동 주도성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하이스코프 교육과정은 특정 영역에 치중하지 않고, 인지적 기술, 사회·정서 발달, 신체 발달, 예술적 표현 등 전인적 성장을 동시에 추구한다.
이 과정은 아동에게 자기 성찰 능력, 언어적 표현력, 메타인지를 길러주는 효과가 있다.
이는 프로그램의 기본 원리(아동 중심, 능동적 학습, 반성적 사고 등)가 문화적 보편성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개별화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교사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한국이나 동아시아권에서는 교사 주도의 수업과 집단 규율이 강조되는 경우가 많아, 아동의 자율적 선택과 개별화 활동을 강조하는 하이스코프 방식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하이스코프는 아동이자유롭게 활동을 선택하고 계획-실행-평가의 순환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교실 규모가 크거나 교사대 아동비율이 높을 경우 운영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약점은 프로그램 자체의 결함이라기보다, 이를 실행하는 현장의 조건과 교사의 역량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사 훈련 강화, 평가도구의 보완, 문화적 현지화, 운영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교육원리, 교육과정, 그리고 강점과 약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교육 목표 측면에서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은 아동을 수동적 존재가 아닌 능동적 학습자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교육원리면에서 하이스코프는 계획-실행-평가 순환, 능동적 학습, 예측 가능한 일과 운영, 성인-아동상호작용, 환경 구성의 중요성을 핵심으로 한다.
Hohm ann, M., &Weikart, D.P.(2002). Edu catingYou ngChildren: A ctiveLearningP ractices forP res choolandC hildC areP rograms.High/ ScopeP ress.
Schweinhart, L.J., &Weikart, D.P.(1997).LastingD iff erences: TheHigh/ScopeP res choolCu rriculumComp arisonStudyThroughAge23.High/ ScopeP ress.
정미라(2015).『 유아교육 프로그램 비교연구』.학지사. |
 |
아동, 하이, 스코프, 프로그램, 발달, 교사, 활동, 교육, 학습, 영역, 평가, 사회, 경험, 유아교육, 점, 실행, 계획, 단순하다, 주도, 교육과정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