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세동 충전 중 가슴 압박을 중단한다.
해설 : 기도기 없이 성인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때는 가슴 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의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해설 : 성인 심폐소생술 시 권장 가슴 압박 속도는 분당 100~120회입니다.
가슴 압박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
심폐소생술도 중 약물 정맥투여시, 가슴 압박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과정에서 가슴 압박을 계속 유지해야 약물이 효과적으로 심장과 뇌에 전달됩니다.
심폐소생술에서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기도기는?
|
|
|
 |
시험 직전에는 기출 오답만 반복해서 회독
RRT는 심정지 예방, CodeBlueTeam은 심정지 발생 시 대응이 목표다.
해설 : 신속 대응팀(RRT, RapidResponseTeam)은 심정지 발생 이전에 조기경고 징후를 발견해 악화를 예방하는 것이 목표이고, 심폐소생팀(CodeBlueTeam)은 심정지 발생 이후 환자를 소생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의식 확인→도움 요청→가슴 압박→호흡확인
의식 확인→가슴 압박→맥박 확인 →호흡확인
이 순서를 C-A-B로 부르며, 기도(A irway)와 호흡(Breathing)보다 순환(Circulation)을 먼저 확인·개입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통해 담관 결석, 담관 협착, 종양, 췌관이상 등을 진단하고, 동시에 결석 제거·협착 확장·스텐트 삽입 등의 치료도 가능합니다.
환자 이송 중 목표 체온 유지✅
성인 심폐소생술에서 가슴 압박 깊이로 권장되는 범위는?
해설 : 성인 심폐소생술 시 가슴 압박 깊이는 약 5~6cm로 권장됩니다.
성인 가슴 압박 속도의 권장 범위는?
해설 : 성인 심폐소생술 시 권장 가슴 압박 속도는 분당 100~120회입니다.
해설 : ETCO₂(End-TidalCO₂)는 심폐소생술 중환자의 관류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기관 내 삽관이 지연되면 즉시 기본기도 유지법(BLS)으로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병행해야 하며, 이를 통해 뇌와 심장에 최소한의 산소와 혈류를 공급해야 합니다.
약물 투여 중단
약물 투여와 동시에 지속✅
해설 : 심정지 상황에서 약물(예: 에피네프린, 아미오다론) 투여는 중요한 처치지만, 약물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전신순환이 유지되어야 합니다.가슴 압박을 중단하면 혈류가 즉시 감소하여 약물이 목표 장기(심장·뇌)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됩니다.
따라서 약물 투여시에도 가슴 압박을 계속 유지해야 하며, 약물이 투여되면 즉시 심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최소한 20~30초 이상 지속적인 압박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해설 : 신속 대응팀(RapidResponseTeam, RRT)의 목표는 환자가 심정지로 진행하기 전에 악화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즉시 개입하여 위기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해설 : 심정지 환자에서 관상관류압(Coron aryPerfusionP ressure)은 심근에 혈액이 공급되는 압력을 의미하며, 심장재소생의 핵심 지표입니다.가슴 압박이 중단되면 관상관류압이 급격히 떨어져 다시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해설 : 기관 내 삽관은 기도 확보와 효과적인 환기를 위해 유용하지만, 시술시간 동안 가슴 압박이 중단되면 환자 예후가 악화됩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초기 처치는 즉시 고품질 가슴 압박을 시작하여 최소한의 순환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빨리 에피네프린을 정맥 또는 골내로 투여하는 것입니다.
해설 : 정맥로로 약물을 투여한 후에는 약물이 혈류를 타고 심장까지 신속히 도달하도록 생리식염수로 플러시(20ml 이상)를 시행합니다.
해설 : ROSC 후 저혈압은 주로 심근 기능 저하(심근수 축력 감소), 저혈량(출혈·탈수), 전신혈관 확장(패혈증·약물영향) 때문에 발생합니다.
해설 : 심폐소생술 중 정맥로 확보가 어려운 경우 기관 내 약물 투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 가능한 대표 약물은 에피네프린(Epinephrine), 아트로핀(Atropine), 리도카인(Lidocaine)입니다.
해설 : 심폐소생술의 생존율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고품질 가슴 압박'입니다.
약물 투여나 기도 확보도 중요하지만, 이는 고품질 압박을 보완하는 역할이며, 압박 자체가 우선순위입니다.
해설 : 성문상기도기(예 : LMA, i-gel)나 기관 내관은 기도 확보 후에도 가슴 압박을 중단하지 않고 환기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설 : ROSC 직후 혈압 저하는 심폐소생술을 종료해야 할 이유가 아니며, 오히려 즉시 교정 가능한 상태입니다.
반면, 종료를 고려할 수 있는 상황은 ▲20분 이상 고품질 심폐소생술에도 ROSC가 없는 경우, ▲치명적 외상으로 회복 가능성이 없는 경우, ▲가역적 원인을 교정할 수 없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
압박, 해설, 이다, 가슴, 투여, 유지, 약물, 심장, 확인, 환자, 심정지, 심폐소생술, 산소, 체온, 원인, rosc, 목표, 뇌, 경우, 시행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