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특히 기술사업화·성과관리·정책연계 등 융합적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에서 일하고자 다짐해왔고, 그 중심에 한국 농업기술진흥원이 있다고 판단하여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기술과 정책이 만나는 지점을 이해하기 위해 농생명 R&D 사업 구조, 성과 확산 구조 등을 분석했고, '농업기술 실용화성과 확산 전략'이라는 주제로 팀 리서치를 진행하며 정책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 사업홍보 등의 업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한국 농업기술진흥원 내 그린바이오R&D 사업관리 실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며, 과제평가·운영·성과관리에 능숙한 PM으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역할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
|
|
 |
단기적으로는 그린바이오 분야의 국가 R&D과제관리와 민간기술 수요 기반 성과 확산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며 정책적·산업적 관점을 동시에 키울 계획입니다.
이후에는 농생명 소재, 생물정보 등 복합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략사업의 기획과 실증 기반 확산까지 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그린바이오산업기획전문가로 성장하겠습니다.
그린바이오 사업관리직무는 연구개발 기획·운영·성과관리의 전주기를 포괄하며, 행정적 역량과 산업동향에 대한 이해, 과제 조정 능력을 동시에 요구합니다.
이후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PM교육과정'을 수료하면서 사업계획서 작성 실습, R&D 사업비 기준, 평가위원회 운 영등실무 수준의 내용을 경험했고, 관련 자격으로는 기술사업화(R&D+TLO) 실무자 교육과 기술경영(MOT) 단기 연수 과정을 이수한 바 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기술과 정책이 만나는 지점을 이해하기 위해 농생명 R&D 사업 구조, 성과 확산 구조 등을 분석했고, '농업기술 실용화성과 확산 전략'이라는 주제로 팀 리서치를 진행하며 정책제안서를 작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 한 국제농업기술박람회 현장 서포터즈로 활동하며 전 세계의 농생명 기업 기술 소개 자료를 번역하고, 온라인 홍보 콘텐츠를 기획한 경험도 있습니다.
사업관리자는 기술과 정책, 현장을 잇는 커뮤니케이터 역할을 해야 하며, 저는 이 경험을 통해 기술을 사용자 중심으로 번역하고,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전략을 설계하는 감각을 익혔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 사업홍보 등의 업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린바이오산업이 미래 농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농업기술진흥원은 공공기술의 실용화와 성과 확산을 통해 현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대표기관이기 때문입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의 역할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
 |
기술, 사업, 성과, 경험, 농, 바이오, 화, 관리, 그린, 정책, 산업, 확산, 농업, r, d, 기획, 역할, 과제, 생명, 평가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