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종합사회복지관 근무시절, 인지장애가 있는 어르신께서 미술 프로그램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고 하셨습니다.
입사 후에는 밀양시지회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지역 어르신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도록 기획과 운영 전반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참여 어르신들의 성과를 사회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싶습니다.
지역 어르신들이 단순한 생계지원이 아닌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고 싶습니다.
Q6.어르신과의 갈등 상황이 있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Q8. 노인 일자리사업에서 개선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어르신의 특성과 의지가 반영되지 않은 일자리 배정 방식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르신의 삶을 바꾸는 일자리를 만드는 데 집중하고 싶습니다.
|
|
|
 |
대학 시절 지역 노인복지관에서 진행한 '독거노인 정서지원 프로그램'에 자원봉사자로 참여하면서 처음으로 노인복지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날 이후, 단순한 자원봉사를 넘어 노인복지를 평생의 업으로 삼고 싶다는 결심이 생 겼습니다.
요양원에서는 치매 어르신을 대상으로 생활지원과 인지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했고, 종합복지관에서는 저소득 어르신을 위한 주거개선 사업과 일자리 상담 업무를 담당했습니다.
그동안의 실무 경험과 지역이해로 밀양시지회의 노인 일자리 사업을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싶습니다.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일할 때, 독거노인 대상 반찬 배달사업 담당자로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어르신 한 분 한 분의 삶을 진심으로 존중하고, 그분들이 편안하게 사회 안에서 살아가실 수 있도록 함께 걷는 사회복지사가 되겠습니다.
입사 후에는 밀양시지회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지역 어르신들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도록 기획과 운영 전반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습니다.
밀양시 역시 다양한 노인 일자리 사업이 운영 중이지만, 수요보다 공급이 앞서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참여 어르신들의 성과를 사회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싶습니다.
노인 일자리는 단순 생계지원이라는 인식을 넘어, 지역사회의 활력을 만드는 자산이라는 점을 시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곳에서 어르신 한 분 한 분 이 웃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일에 저의 열정과 경험을 모두 쏟고 싶습니다.
타 지역 복지관에서의 경험을 통해 쌓은 실무 역량을 이제는 고향 어르신을 위해 쓰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습니다.
지역 어르신들이 단순한 생계지원이 아닌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고 싶습니다.
가장 큰 강점은 현장에서 쌓은 경험과 세심한 관찰력으로 어르신 한 분 한 분의 특성과 필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실무와 마음을 함께 담아내는 균형 잡힌 사회복지사가 저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Q3.가장 기억에 남는 복지실천 경험은 무엇인가요?
Q4.일자리사업의 어떤 점에 가장 보람을 느끼시나요?
어르신이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직도 내가 사회에 쓸모 있는 사람'이라는 자존감을 회복할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낍니다.
Q6.어르신과의 갈등 상황이 있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특히 반복되는 갈등 상황에서는 사례회의 등을 통해 객관적인 시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 습니다.
어르신의 특성과 의지가 반영되지 않은 일자리 배정 방식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어르신, 일자리, 노인, 싶다, 참여, 지역, 경험, 사회, 분, 삶, 사업, 이다, 복지, 프로그램, 이후, 통해, 단순하다, 복지사, 복지관, 운영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