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기대학교는 사회적 책무성을 가진 대학으로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입학전형, 고른 기회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등을 꾸준히 운영해왔습니다.
가장 큰 성취 경험은, 2021년 경기도 B고등학교의 '학생부 기반 진학지도 컨설팅 프로젝트'를 설계·운영했던 일입니다.
진학상담과 진로설계 업무를 하며 다양한 학생을 만나왔고, 이들을 대학과 연결하는 교육적 연결자 역할을 해왔습니다.
경기대학교는 전형의 다양성과 공정성에서 선도적인 대학이며, 저 역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입학제도 설계를 실현하고 싶다는 신념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입학사정관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
|
 |
특히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A지역 교육청의 진학지원센터에서 진학컨설턴트로 활동하며, 학생부종합전형 대상 학생의 자기소개서 첨삭과 모의면접, 학교생활기록부 기반 평가자료 작성을 전담했습니다.
또한 고등학교 교사 대상 대입전형 설명회 자료를 기획 및 발표한 경험도 있어, 중등교육과 대학 간의 연결성을 실제로 설계 하고 운영한 경험이 풍부합니다.
교육정책 및 전형 트렌드 분석, 평가편향 방지법, 문항 기반 정성평가 방법 등 사정관 업무에 필요한 전문 이론과 실무 노하우를 모두 갖추었습니다.
당시 저는 총괄 기획 및 현장 실무 담당자로서, 교육청 관계자, 지역 대학 입학팀, 고등학교 진로교사, 외부강사들과 유기적으로 협업해야 했습니다.
현장 만족도 조사 결과 '매우 만족' 92%, 추후 프로그램 재참여 희망도 88%를 기록하며, 교육청 내부평가에서 우수 프로젝트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경험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유기적인 협업이 하나의 교육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였으며, 입학사정관으로서 대학 내외부의 협력구조를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에도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이유가 되었습니다.
가장 큰 성취 경험은, 2021년 경기도 B고등학교의 '학생부 기반 진학지도 컨설팅 프로젝트'를 설계·운영했던 일입니다.
교장선생님의 의뢰로 3개월간 집중 컨설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게 되었고, 이는 제게 단순 강사가 아닌 '교육설계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진로-수상-독서-탐구 활동 간 연결성을 설계하며, '나만의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학생의 기록을 단순한 데이터가 아닌 맥락 속의 미로 해석하는 능력, 그리고 그 맥락을 대학과 입학전형의 언어로 바꾸어내는 능력은 지금까지 제가 쌓아온 모든 경험의 핵심입니다.
입학사정관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
 |
학생, 대학, 전형, 경험, 평가, 설계, 진로, 이다, 입학사정관, 입학, 교육, 고등학교, 대학교, 부, 운영, 되어다, 진학, 성, 현장, 로서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