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산시스템은 내부 사용자와의 소통이 없이는 지속가능한 개선이 어렵습니다.
이와 같은 경험은 한국국제협력단 공무직 전산직이 요구하는 '내부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안정화', '정보자산의 효율적 관리', '국제개발협력의 IT기반 행정지원'과 직결된 역량이라고 판단합니다.
입사 후 저는 한국국제협력단의 전산시스템이 조직의 국제개발협력활동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업무를 수행하겠습니다.
전산직의 일은 단순히 시스템을 지키는 것이 아닌, '업무 효율성과 조직 신뢰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전산 직업무 중 가장 자신 있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
|
|
 |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는 내부그룹웨어 속도 개선 및 DB 안정화 작업이었습니다.
이러한 개선작업을 약 한 달간 주도한 결과, 그룹웨어 응답 속도는 평균 37% 향상되었으며, DB 오류 발생률은 분기당 12건에서 3건 이하로 감소하였습니다.
전산시스템은 내부 사용자와의 소통이 없이는 지속가능한 개선이 어렵습니다.
이와 같은 경험은 한국국제협력단 공무직 전산직이 요구하는 '내부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안정화', '정보자산의 효율적 관리', '국제개발협력의 IT기반 행정지원'과 직결된 역량이라고 판단합니다.
특히 KOICA는 국내외 사무소 간 협업 시스템 유지와 글로벌 협력 프로젝트를 위한 전산기반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고 있으며, 저는 기술적 기초역량과 소통 중심의 서비스 마인드를 바탕으로 이 직무에 가장 적합한 지원자라고 자신합니다.
우선 내부 전산시스템의 구조, 연동된 각종 행정 플랫폼(KOVNet, ERP, 그룹웨어 등), 보안시스템 구성 등을 정확히 파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업무 효율화를 위한 RPA(RoboticP rocessA utom ation) 도입, 전자서명 시스템 고도화, 모바일 기반 업무시스템 도입 등을 검토하고, 사내 직원의 디지털 업무 활용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콘텐츠도 기획해 보고 싶습니다.
KOICA의 업무 특성상 각종 정보들이 해외로 전송되거나 타국 정부 및 기관과 공유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국제정보보호 기준과 국내 법률 모두에 정통한 전산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산직의 일은 단순히 시스템을 지키는 것이 아닌, '업무 효율성과 조직 신뢰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공공기관의 전산직과 민간기업 전산직의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전산, 시스템, 업무, 협력, 사용자, 직, 기반, 국제, 내부, 개선, 역량, 문제, 분석, 중심, 효율, 지원, 행정, 관리, 위, 개발 |
|
|
|
|
|
 |
|
|
|
|
|
|
|
|
|
|
|
|